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490 추천 수 0
◎ 癰疽欲發之候 ○ 凡發熱憎寒頭痛惡心筋脈拘牽氣急煩悶或病渴多年是皆欲發癰疽之證也[直之] ○ 諸脈浮數應當發熱而反?淅惡寒若有痛處當發其癰 ○ 脈微而遲反發熱弱而數反振寒當發癰腫 ○ 脈浮而數身體無熱形??胸中微燥不知痛之所在此人當發癰[仲景] ○ 癰疽皆因氣鬱而成經云氣宿于經絡與血俱澁而不行壅結爲癰疽此言七情而成[三因] ○ 憤鬱不遂志欲之人多有此疾[精要] ○ 久患口乾必生癰疽忍冬茶常服最佳[俗方]

☞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 대체로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메스꺼우며 힘줄이 켕기고[拘牽] 숨이 차며 답답한 것과 소갈병이 여러 해 동안 가는 것은 다 옹저가 생기려는 증상이다[직지]. ○ 모든 맥이 부삭(浮數)할 때에는 응당 열이 나야 하는데 오히려 오싹오싹 추우면서 아픈 곳이 있는 것은 옹이 생기려는 것이다. ○ 맥이 미(微)하면서 지(遲)한데 도리어 열이 나거나 맥이 약(弱)하면서 삭(數)한데 오히려 추워 떠는 것은 반드시 옹종이 생기려는 것이다. ○ 맥이 부(浮)하면서 삭(數)한데 몸에 열은 없고 말하기를 싫어하며 가슴이 약간 번조하며 어디가 아픈지 잘 알 수 없는 것은 옹이 생기려는 것이다[중경]. ○ 옹저는 다 기가 몰려서 된 것이다. 『내경』에는 기가 경락에 머물러 있으면서 혈과 함께 잘 돌지 못하면 막히고 뭉쳐서 옹저가 된다고 씌어 있는데 이것은 7정(七情)으로 생기는 것을 말한 것이다[삼인]. ○ 분하고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자기의 뜻을 이루지 못하면 흔히 이런 병이 생긴다[정요]. ○ 입이 마르는 병을 오랫동안 앓으면 반드시 옹저가 생기게 된다. 이런 때에는 인동덩굴과 차를 늘 먹는 것이 제일 좋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습수(濕嗽) 883
[기침(咳嗽)] 울수(鬱嗽) 912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기침(咳嗽)] 식적수(食積嗽) 1250
[기침(咳嗽)] 기수(氣嗽) 891
[기침(咳嗽)] 담수(痰嗽) 1550
[기침(咳嗽)] 건수(乾嗽) 1684
[기침(咳嗽)] 혈수(血嗽) 602
[기침(咳嗽)] 주수(酒嗽) 667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기침(咳嗽)] 화수(火嗽) 854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5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기침(咳嗽)]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咳嗽藥] 1341
[기침(咳嗽)] 천식에는 8가지가 있다[喘證有八] 692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기침(咳嗽)] 담천(痰喘) 1123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기침(咳嗽)] 수천(水喘) 959
[기침(咳嗽)] 오랜 천식[久喘] 968
[기침(咳嗽)] 위가 허하여 생긴 천식[胃虛喘] 542
[기침(咳嗽)] 음이 허하여 생긴 천식[陰虛喘] 941
[기침(咳嗽)] 여러 가지로 상해서 숨찬 증과 기침이 나는 것[諸傷發喘嗽] 564
[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두루 치료하는 약[喘嗽通治藥] 65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에는 한증과 열증을 갈라야 한다[喘嗽宜辨寒熱] 412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에는 반드시 허증과 실증을 갈라야 한다[喘嗽宜分虛實] 58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목이 쉬는 것[喘嗽聲嘶] 452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喘嗽上氣出於腎虛] 871
[기침(咳嗽)] 천식과 기침을 세게 억눌러서 치료하는 약[喘嗽劫藥]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