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543 추천 수 0

◎ 癰疽當分內外 ○ 癰疽發於內者當審藏府如中府隱隱而痛者肺疽上肉微起者肺癰也巨闕屬心期門屬肝章門屬脾京門屬腎中脘屬胃天樞屬大腸關元屬小腸丹田屬三焦若有上證皆倣此辨之[靈樞] ○ 發於腔子之內者曰內疽曰肺癰心癰肝癰腎癰胃脘癰腸癰 ○ 發於腔子之外者曰腦發背發?發眉發?發??發?發腋發穿當發(下部也)腿發喉癰臍癰@馬癰囊癰乳癰也[正傳]


☞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 옹저가 가슴 속이나 뱃속에 생겼을 때에는 반드시 어느 장부와 연관된 것인가를 알아내야 한다. 중부(中府)가 은은히 아픈 것은 폐저(肺疽)이고 중부에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폐옹(肺癰)이다. 거궐(巨闕)은 심(心)에 속하고 기문(期門)은 간(肝)에 속하며 장문(章門)은 비(脾)에 속하고 경문(京門)은 신(腎)에 속하며 중완(中脘)은 위(胃)에 속하고 천추(天樞)는 대장(大腸)에 속하며 관원(關元)은 소장(少腸)에 속하고 단전(丹田)은 3초(三焦)에 속한다. 그러므로 중부에서와 같이 해당한 곳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가려내야 한다[영추]. ○ 몸 안에 생기는 것은 내저(內疽), 폐옹(肺癰), 심옹(心癰), 간옹(肝癰), 신옹(腎癰), 위완옹(胃脘癰), 장옹(腸癰)이 있다. ○ 겉에 생기는 것은 뇌발(腦發), 배발(背發), 빈발(?發), 미발(眉發), 이발(?發), 시함발(??發), 자발(?發), 액발(腋發), 천당발(穿當發, 회음부의 앞에 생기는 것), 퇴발(腿發), 후옹(喉癰), 제옹(臍癰), 과마옹(@馬癰), 낭옹(囊癰), 유옹(乳癰)이 있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대장부(大腸腑)] 단방(單方)/대장부 713
[사수(邪崇)] 방예하는 방법[禳法] 713
[흙(土部)] 토봉과상토(土蜂?上土, 땅벌집 위의 흙) 713
[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714
[귀(耳)] 단방(單方)/귀 714
[머리털(毛髮)] 머리털은 혈의 나머지이다[髮者血之餘] 714
[한(寒)] 상한동기(傷寒動氣) 714
[내상(內傷)] 식적은 상한과 비슷하다[食積類傷寒] 714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소아(小兒)] 담천(痰喘) 714
[새(禽部)] 순육(?肉, 메추리 고기) 714
[채소(菜部)] 해채(海菜, 미역) 714
[젖(乳)] 남자와 여자의 젖몸에 생긴 병은 같지 않다[男女乳疾不同] 715
[내상(內傷)] 열격과 반위[?膈反胃] 715
[소아(小兒)] 장열(壯熱) 715
[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716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7
[입과 혀(口舌)] 입술과 혀를 보고 병을 알아내는 것[視唇舌占病] 717
[부인(婦人)] 해산 후의 부종[産後浮腫] 717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대변(大便)] 맥 보는 법[脈法]/대변 718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가슴(胸)] 풍심통(風心痛) 718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
[소갈(消渴)] 소갈은 신화가 쇠약하여 생긴다[消渴由坎火衰少] 718
[황달(黃疸)] 황한(黃汗) 71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