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543 추천 수 0

◎ 癰疽當分內外 ○ 癰疽發於內者當審藏府如中府隱隱而痛者肺疽上肉微起者肺癰也巨闕屬心期門屬肝章門屬脾京門屬腎中脘屬胃天樞屬大腸關元屬小腸丹田屬三焦若有上證皆倣此辨之[靈樞] ○ 發於腔子之內者曰內疽曰肺癰心癰肝癰腎癰胃脘癰腸癰 ○ 發於腔子之外者曰腦發背發?發眉發?發??發?發腋發穿當發(下部也)腿發喉癰臍癰@馬癰囊癰乳癰也[正傳]


☞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 옹저가 가슴 속이나 뱃속에 생겼을 때에는 반드시 어느 장부와 연관된 것인가를 알아내야 한다. 중부(中府)가 은은히 아픈 것은 폐저(肺疽)이고 중부에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폐옹(肺癰)이다. 거궐(巨闕)은 심(心)에 속하고 기문(期門)은 간(肝)에 속하며 장문(章門)은 비(脾)에 속하고 경문(京門)은 신(腎)에 속하며 중완(中脘)은 위(胃)에 속하고 천추(天樞)는 대장(大腸)에 속하며 관원(關元)은 소장(少腸)에 속하고 단전(丹田)은 3초(三焦)에 속한다. 그러므로 중부에서와 같이 해당한 곳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가려내야 한다[영추]. ○ 몸 안에 생기는 것은 내저(內疽), 폐옹(肺癰), 심옹(心癰), 간옹(肝癰), 신옹(腎癰), 위완옹(胃脘癰), 장옹(腸癰)이 있다. ○ 겉에 생기는 것은 뇌발(腦發), 배발(背發), 빈발(?發), 미발(眉發), 이발(?發), 시함발(??發), 자발(?發), 액발(腋發), 천당발(穿當發, 회음부의 앞에 생기는 것), 퇴발(腿發), 후옹(喉癰), 제옹(臍癰), 과마옹(@馬癰), 낭옹(囊癰), 유옹(乳癰)이 있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58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신옹(腎癰) 897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7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5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8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8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3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0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