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524 추천 수 0
◎ 癰疽當分經絡 ○ 肺癰手太陰經心癰手少陰經肝癰足厥陰經脾癰足太陰經腎癰足太陽經胃脘癰足陽明經腸癰手太陽經足陽明經腦癰督脈與足太陽經背癰中屬督脈左右足太陽經?癰手足少陽經眉癰手足太陽經與手足少陽經?癰手足陽明經??癰手陽明經?癰手足陽明經腋癰手太陽經穿當癰督衝任三脈腿癰表足三陽經裏足三陰經喉癰任脈與足陽明經臍癰任脈與足陽明經乳癰內足陽明經外足少陽經乳頭足厥陰經@馬癰足厥陰經囊癰足厥陰經[正傳] ○ 六陽經六陰經分布周身有多氣少血者有多血少氣者有氣血俱多者不可一?論也何則諸經惟少陽厥陰經之生癰疽理宜預防以其多氣少血也其血本少肌肉難長瘡久未合必成危證苟不知此妄用驅毒利藥以伐其陰分之血禍不旋踵[丹心]

☞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 폐옹(肺癰)은 수태음경(手太陰經)과 관련된 것이며 심옹(心癰)은 수소음경(手少陰經)과 관련된 것이고 간옹(肝癰)은 족궐음경(足厥陰經)과 관련된 것이며 비옹(脾癰)은 족태음경(足太陰經)과 연관된 것이고 신옹(腎癰)은 족태양경(足太陽經)과 관련된 것이며 위완옹(胃脘癰)은 족양명경(足陽明經)과 관련된 것이고 장옹(腸癰)은 수태양(手太陽) 및 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며 뇌옹(腦癰)은 독맥(督脈) 및 족태양경과 관련된 것이고 배옹(背癰)이 한가운데 생긴 것은 독맥과 관련된 것이고 좌우에 생긴 것은 족태양경과 관련된 것이며 빈옹(?癰)은 수족소양경(手足少陽經)과 관련된 것이고 미옹(眉癰)은 수족태양경(手足太陽經) 및 수족소양경(手足少陽經)과 관련된 것이며 이옹(?癰)은 수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고 시함옹(??癰)은 수양명경과 관련된 것이며 자옹(?癰)은 수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고 액옹(腋癰)은 수태양경과 관련된 것이며 천당옹(穿當癰)은 독맥(督脈), 충맥(衝脈), 임맥(任脈) 이 3경맥과 관련된 것이고 퇴옹(腿癰)이 겉에 생긴 것은 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며 속으로 생긴 것은 족삼음경(足三陰經)과 관련된 것이고 후옹(喉癰)은 임맥 및 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며 제옹(臍癰)은 임맥 및 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고 유옹(乳癰)이 속으로 몰린 것은 족양명경과 관련된 것이며 겉으로 몰린 것은 족소양경과 관련된 것이고 젖꼭지에 생긴 것은 족궐음경(足厥陰經)과 관련된 것이며 과마옹(@馬癰)은 족궐음경과 관련된 것이고 낭옹(囊癰)은 족궐음경과 관련된 것이다[정전]. ○ 6양경(六陽經)과 6음경(六陰經)은 온몸에 퍼져 있다. 기가 많고 혈이 적은 것도 있고 혈이 많고 기가 적은 것도 있으며 기와 혈이 다 많은 것도 있다. 그러니 한 가지로만 말할 수는 없다. 모든 경락 가운데서 소양경(少陽經)과 궐음경(厥陰經)과 관련되어 생기는 옹저는 될 수 있는 대로 미리 막아야 한다. 그것은 그 경락들에 기가 많고 혈이 적기 때문이다. 혈이 본래 적으면 새살이 살아나기 어렵고 헌데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는다. 그리고 반드시 위험한 증상으로 된다. 만일 이런 것을 알지 못하고 함부로 독을 몰아내려고 설사약을 쓰면 음분의 혈이 상하게 되므로 손 쓸 사이 없이 화를 입게 된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영위에 병이 생긴 것[榮衛生病] 515
[변증(辨證)]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能食不能食] 405
[변증(辨證)] 병이 실한 것인가 허한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凡病辨有餘不足] 495
[변증(辨證)] 병에 형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凡病有形無形] 437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변증(辨證)] 남자와 여자 병의 원인[男女病因] 543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변증(辨證)]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53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변증(辨證)] 사람은 7일 동안 먹지 못하면 죽는다[人不食七日死] 362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변증(辨證)] 5장이 싫어하는 것[五臟所惡] 362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진액[五臟化液] 364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변증(辨證)] 5로소상(五勞所傷) 360
[변증(辨證)] 5장과 관련된 5가지 맥[五脈應象] 359
[진맥(診脈)]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6가지 주되는 맥[天和六脈] 476
[진맥(診脈)] 맥은 반드시 생기가 있어야 한다[脈當有神] 520
[진맥(診脈)] 맥에는 위기가 기본이다[脈以胃氣爲本] 477
[진맥(診脈)] 진장맥(眞臟脈)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