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낭옹(囊癰)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367 추천 수 0
◎ 囊癰 ○ 者濕熱下注也有作膿者此濁氣順下將流入?道因陰道或虧水道不利而然膿盡自安勿藥可也或有因腹腫漸流入囊腫甚而囊自裂開睾丸懸掛水出以?炭末付之外以紫蘇葉包?仰臥養之 ○ 癰疽入囊者曾治數人悉以濕熱入肝經處治而用補陰藥佐之雖膿潰皮脫睾丸懸掛者皆不死 ○ 取紫蘇葉焙乾爲末付之如燥香油潤之皮脫者靑荷葉包之其皮自生[丹心]

☞ 낭옹(囊癰)

 ○ 낭옹이란 아래로 습열이 몰려서 생긴 것인데 곪는 것도 있다. 이것은 탁기(濁氣)가 스며나가다가 정액이 통하는 길로 흘러 들어갔거나 소변길이 잘 통하지 못하게 되어 생긴 것이다. 그러나 고름만 다 빠지면 저절로 낫는다. 그러므로 약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혹은 배가 부었다가 그것이 점차 음낭으로 퍼지면 음낭이 몹시 붓거나 터져서 고환이 겉으로 나오고 물이 나오는 때도 있다. 이런 데는 밀기울[?]을 태워 가루내서 붙이고 그 겉을 자소엽으로 싸맨 다음 반듯하게 누워서 조리해야 한다. ○ 옹저가 음낭으로 퍼진 것을 일찍이 몇 명 치료하였는데 모두 간경에 습열(濕熱)이 들어가서 생긴 것으로 보고 치료하였다. 그리하여 음을 보하는 약을 보조약으로 썼는데 곪아 터져서 피부가 벗겨지고 고환이 겉으로 나와 매달렸던 것들도 다 죽지 않고 나았다. ○ 자소엽을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가루내어 붙이기도 한다. 낭옹이 마르면 참기름으로 축여 주어야 한다. 피부가 벗겨진 것은 푸른 연잎으로 싸매면 저절로 아문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1116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2
[한(寒)] 태양병이 학질과 비슷한 것[太陽病似?] 662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태양상풍(太陽傷風) 749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6경의 표와 본[六經標本] 519
[한(寒)] 태양병은 6가지로 전해진다[太陽六傳] 565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한(寒)] 상한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傷寒或愈或死日期] 528
[한(寒)] 상한의 전경[傷寒傳經] 532
[한(寒)]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傷寒變熱] 623
[한(寒)] 맥 보는 법[脈法] 586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한(寒)]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冬爲傷寒] 653
[풍(風)] 침뜸치료[鍼炙法]/풍 646
[풍(風)] 단방(單方)/풍 580
[풍(風)] 파상풍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상[破傷風凶證] 396
[풍(風)] 치병은 간질과 비슷하나 실지는 다르므로 풍병으로 보고 치료해서는 안 된다[?與癎相似而實不同又不可作風治] 652
[풍(風)]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791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풍(風)]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1148
[풍(風)] 파상풍의 맥상[破傷風脈] 522
[풍(風)] 파상풍의 증상[破傷風形證] 466
[풍(風)] 치와 경을 일반적으로 파상풍이라고 한다[ 與痙通稱破傷風] 393
[풍(風)]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482
[풍(風)] 금기법(禁忌法)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