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정저(?疽)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458 추천 수 0
◎ ?疽 ○ 發於足上下名曰四淫其狀大癰不急治之百日死 ○ 發於足傍名曰?疽其狀不大初從小指發急治之去其黑者不消輒益不治百日死 ○ 發於足指名曰脫疽其狀赤黑者死不治不赤黑者不死治之不衰急斬之否則死[靈樞] ○ 膏粱之變足生大丁[內經] ○ ?瘡初發突起如釘盖故謂之?近世多見因食自死牛馬禽獸之肉而發或感襲天地暴?之氣而發或恣食辛辣厚味積毒而發其形有十三種治法皆同初起僅一小瘡殺人於一二日之內比之癰疽尤毒又有紅絲?魚臍?其毒尤甚[入門] ○ ?瘡發無定處在手足頭面胸背骨節間最急其餘處爲緩[正傳]

☞ 정저(?疽)

 ○ 발의 아래 위에 생긴 것을 사음(四淫)이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큰 옹저와 같다. 이것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 발의 옆에 생긴 것을 여저(?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크지 않다. 이것이 처음에는 새끼발가락에 생기는데 이때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치료하여도 검은 것이 삭지 않으면 점차 더 심해져서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 발가락에 생기는 것을 탈저(脫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가 검붉은 것은 치료할 수 없고 검붉지 않은 것은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하여도 낫지 않을 때에는 빨리 잘라버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영추]. ○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곧 정창(?瘡)이 생긴다[내경]. ○ 정창이 처음 생길 때 못머리 같은 것이 도드라져 나오기 때문에 정(?)이라고 한다. 요즘에 와서는 흔히 저절로 죽은 소나 말이나 새 등 짐승의 고기를 먹고 이 병에 걸리는 것이 있다. 혹은 천지의 세찬 기운에 감촉되어도 생기고 맛이 맵고 기름진 음식을 절도없이 먹어 독이 몰려도 생긴다. 그 형태는 13가지이지만 치료법은 다 같다. 처음 생길 때에는 헌데가 아주 작다. 그러나 1-2일 사이에 사람을 죽게 하는 것은 옹저보다 더 심하다. 또한 홍사정(紅絲?)과 어제정(魚臍?)은 독이 더 심하다[입문]. ○ 정창이 일정한 곳에 생기지는 않는다. 그러나 팔다리, 머리, 얼굴, 가슴, 등의 뼈마디에 생긴 것이 제일 위급하다. 그 나머지 것은 완만하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천지운기(天地運氣)] 천기가 도는 것[天氣流行] 569
[용약(用藥)] 처방을 요약하는 것은 주머니를 졸라매듯이 해야 한다[約方猶約囊] 569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내상(內傷)] 음식으로 내상이 된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吐] 569
[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569
[입과 혀(口舌)] 단방(單方)/입과 혀 568
[근(筋)] 족태양(足太陽)의 경근[足太陽之筋] 568
[발(足)] 각기병 때 꺼려야 할 것[脚氣禁忌法] 568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8
[한(寒)] 양명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陽明外證] 568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채소(菜部)] 누호(蔞蒿, 물쑥) 568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목구멍(咽喉)] 침뜸치료[鍼灸法]/인후 567
[젖(乳)] 유현증(乳懸證) 567
[심병(審病)] 잡병 때 죽을 것을 미리 알 수 있는 증상[雜病占死候] 567
[온역(瘟疫)] 방예하는 법[禳法] 567
[괴질(怪疾)] 눈앞에 5가지 빛이 나는 물건이 보이는 것[眼見五色物] 567
[곡식(穀部)]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567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눈(眼)] 천곽(天廓) 566
[잔등(背)] 등뼈는 몇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背脊骨節有數] 566
[심병(審病)] 5가지 실증과 5가지 허증[五實五虛] 566
[한(汗)] 땀[汗] 566
[괴질(怪疾)] 물건이 거꾸로 보이는 것[視物倒植] 566
[천지운기(天地運氣)] 5행의 상생, 상극이 제대로 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것[五行生剋順逆] 565
[토[吐]] 토하도록 돕는 방법[助吐法] 565
[한(寒)] 태양병은 6가지로 전해진다[太陽六傳]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