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홍사정(紅絲?)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3058 추천 수 0
◎ 紅絲? ○ ?瘡或有一條如紅線直上倉卒之際急用鍼於紅線所至處刺出毒血然後以蟾?乳香等膏於正瘡內塗之鍼時以病者知痛出血爲好否則紅線入腹必致危殆[綱目] ○ ?生兩足多有紅絲至臍?生兩手多有紅絲至心?生面部多有紅絲入喉者俱難治急鍼其絲出血以泄其毒方可保生[入門]

☞ 홍사정(紅絲?)

 ○ 정창이 생겼는데 혹 한 줄기의 벌건 줄이 잠깐 사이에 곧추 뻗어 올라가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는 빨리 침으로 벌건 줄이 뻗은 곳을 찔러서 독한 피를 뺀 다음 섬수나 유향 등으로 만든 고약을 정창에 발라야 한다. 침을 놓을 때 환자가 아픔을 느끼고 피가 나오면 좋다. 그렇지 못하고 벌건 줄이 배로 뻗어 들어가면 반드시 위험하다[강목]. ○ 정창이 양쪽 다리에 생기면 흔히 벌건 줄이 배꼽이 있는 데까지 뻗어가고 양팔에 생기면 벌건 줄이 심장이 있는 부위에까지 뻗어간다. 정창이 얼굴에 생기면 벌건 줄이 목에까지 뻗어가는데 이런 것들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나 빨리 벌건 줄이 생긴 곳을 침으로 찔러 피를 빼내어 독기가 나오면 살 수 있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풍(風)]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538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31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풍(風)] 비증 때의 치료방법[痺病治法] 485
[풍(風)] 비증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痺病難治] 588
[풍(風)] 풍비는 위증과 비슷하다[風痺與?相類] 568
[풍(風)]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503
[풍(風)] 비증의 예후[痺病吉凶] 433
[풍(風)] 비증의 형태[痺病形證] 628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풍(風)] 5가지 비증[五痺] 649
[풍(風)] 3가지 비증[三痺] 856
[풍(風)] 풍비증의 시초[風痺之始] 786
[풍(風)]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756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풍(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594
[풍(風)] 상풍증(傷風證) 612
[풍(風)] 중풍 때 음식을 잘 먹는 것[中風能食] 443
[풍(風)] 중풍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지나치게 치료할 필요가 없다[小中不須深治] 442
[풍(風)] 풍병은 도지지 않도록 미리 막아야 한다[風病須防再發] 652
[풍(風)] 중풍은 땀을 많이 내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風非大汗則不除] 615
[풍(風)]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1209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풍(風)] 담연이 몹시 성한 것[痰涎壅盛] 968
[풍(風)] 팔다리에 생긴 계종과 축닉은 풍병이다[四肢??爲風疾] 701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2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9
[풍(風)] 정신이 흐릿한 것[精神蒙昧]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