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46 추천 수 0
◎ 癰疽鍼法 ○ ?鍼者末如劍鋒以取大膿[靈樞] ○ 夫癰氣之息者宜以鍼開除去之註云息與?同死肉也[內經] ○ 癰疽成膿以馬啣鐵作鍼形如?葉兩面皆利可以橫直開裂以取膿血[精要] ○ 癰疽如椒眼數十粒或如蜂?蓮房而膿出痛不除宜以?鍼橫直裂之則毒血挾膿出而愈[綱目] ○ 癰疽作膿若不鍼烙毒氣無從而解膿瘀無從而泄過時不鍼烙反攻其內欲望其生豈可得乎癤皮薄惟用鍼以快其膿血不可烙也[精義] ○ 九近筋脈骨節處不得亂行鍼烙 ○ 癰疽皮厚口小膿水出不快者宜用鍼烙[精義] ○ 大抵用鍼只欲引膿出如鍼刺無膿是氣伏也不可用鍼烙[涓子]

☞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 피침(?鍼)은 끝이 칼 같으므로 몹시 곪은 것을 째는데 쓴다[영추]. ○ 옹저 때 생기는 군살은 침으로 떼버려야 한다. 주해에 군살은 죽은 살이라고 씌어 있다[내경]. ○ 옹저로 곪을 때에는 말에 물리는 자갈로 부추잎처럼 양쪽이 다 날이 서게 침을 만들어 열십 자로 째고 고름을 짜내는 것이 좋다[정요]. ○ 옹저로 조피씨 몇 십 알이나 벌집이나 연실집 모양으로 곪아서 고름이 나오면서 계속 아플 때에는 화침(火鍼)으로 째지 않으면 독기를 풀 수 없고 피고름을 빼낼 수 없다. 만약 때를 놓쳐서 화침으로 째지 못하면 속으로 몰리므로 살리기 어렵다. 절(癤)인 때에는 그곳의 피부가 얇아지므로 침으로 째고 피고름을 짜내는 것이 좋다. 화침은 하지 말아야 한다[정의]. ○ 옹저가 힘줄, 핏줄, 뼈마디 근처에 생겼을 때에는 함부로 화침해서는 안된다. ○ 옹저가 생긴 곳의 피부가 두텁고 고름이 나오는 구멍이 작아서 잘 나오지 못할 때에는 화침으로 째는 것이 좋다[정의]. ○ 옹저 때 침을 쓰는 것은 오직 고름만을 빼내자는 것이다. 곪지 않았을 때 침으로 째면 기가 속으로 몰리므로 화침을 할 수 없게 된다[연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2092
[적취(積聚)] 징가와 현벽의 증상과 치료[?癖證治] 1134
[적취(積聚)]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1006
[적취(積聚)] 장담, 석가, 혈고의 증상과 치료[腸覃石 血蠱證治] 1134
[적취(積聚)] 식적병(息積病) 825
[적취(積聚)] 도인법(導引法) 683
[적취(積聚)] 여러 가지 음식에 상하면 적이 된다[諸物傷成積] 677
[적취(積聚)] 식적(食積) 1140
[적취(積聚)] 주적(酒積) 1136
[적취(積聚)] 면적(麵積) 765
[적취(積聚)] 육적(肉積) 672
[적취(積聚)] 어해적(魚蟹積) 798
[적취(積聚)] 과채적(果菜積) 785
[적취(積聚)] 다적(茶積) 745
[적취(積聚)] 수적(水積) 994
[적취(積聚)] 혈적(血積) 1035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적취(積聚)] 적취, 징가, 현벽, 비괴를 두루 치료하는 약[積聚?癖?塊通治藥] 1284
[적취(積聚)] 겉에 붙이는 약[外貼法] 604
[적취(積聚)] 징가 때 찜질하는 방법[??法] 484
[적취(積聚)] 손에 쥐고 있으면 적이 풀리는 약[握藥宣積] 523
[적취(積聚)] 치료하기 어려운 증[難治證] 518
[적취(積聚)] 단방(單方) 577
[적취(積聚)] 침뜸치료[鍼炙法] 621
[부종(浮腫)] 부종의 원인[浮腫之因] 795
[부종(浮腫)] 부종의 시초[浮腫徵兆] 752
[부종(浮腫)] 부종의 형태와 증상[浮腫形證] 868
[부종(浮腫)] 맥 보는 법[脈法] 559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3
[부종(浮腫)] 10가지 수증[十水證]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