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78 추천 수 0
◎ 癰疽烙法 ○ 或問烙法何如曰膿或汪洋欲出奈何皮厚肉深難穴者不用烙以開竅脈膿何由出 ○ 膿本肉腐所成皆挾毒熱之氣若久留肉?間則毒氣浸淫好肉亦化爲膿腐此所以烙法有功乎潰瘍也[涓子] ○ 癰疽成膿宜烙可用銀?大二分長六寸火上燒令赤急手?烙毒上得膿爲效[精要] ○ 近代良醫只以金銀鐵鋌其#如鍼者以木炭熱火猛燒通赤醮油烙之尤妙隨鍼烙出膿者順也如膿不出實者撚髮爲?虛者以紙爲?於?上醮藥?入鍼孔引出膿毒如腫不退疼不除急服排膿托裏湯藥以助其勢 ○ 膿色黃白卽好若赤黑色防後有鮮血出[精要]

☞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 화침은 어느 때 하는가. 옹저 때 화침하는 것은 고름이 찰대로 찼으나 그곳의 피부가 두껍고 살 깊숙이 생겨서 구멍이 뚫어지지 않아 화침으로 구멍을 뚫지 않으면 고름이 나올 수 없을 때 한다 ○ 고름은 살이 썩어서 된 것이기 때문에 다 독기(毒氣)와 열기(熱氣)를 띤다. 그러므로 주리(?理)와 근육 사이에 고름이 오랫동안 머물러있게 되면 독기가 퍼져 나가므로 살이 또 썩어서 고름으로 된다. 옹저로 곪은 것은 화침으로 터트려야 효과가 있다[연자]. ○ 옹저가 다 곪았을 때에는 화침해야 하는데 직경이 2푼 정도 되고 길이 6치 정도 되는 은비녀를 쓴다. 이것을 불에 벌겋게 달구어 곪은 데를 지지면 고름이 나오고 낫는다[정요]. ○ 요즘 유능한 의사들은 금, 은, 쇠로 침같이 만들어 숯불에 벌겋게 달군 다음 거기에 기름을 묻혀서 지지는데 아주 편리하다. 화침한 즉시로 고름이 나오면 좋다. 그러나 고름이 나오지 않으면 심지를 꽂아 넣어야 하는데 건장한 환자는 털심지를 꽂아 넣고 허약한 환자는 종이심지를 꽂아 넣어서 계속 고름이 나오게 해야 한다. 만일 부은 것이 내리지 않고 아픈 것이 멎지 않으면 빨리 고름을 빼낸 다음 탁리하는 달임약을 먹어서 원기를 돋구어야 한다. ○ 고름이 누렇거나 허여면 예후가 좋다. 고름이 벌겋거나 검으면 후에 선혈(鮮血)이 터져 나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미리 막아야 한다[정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5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7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2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
[탕액서례(湯液序例)]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630
[탕액서례(湯液序例)]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67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543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물(水部)] 약으로 쓰는 물㈜[水部] 512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물(水部)]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606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물(水部)]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