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13 추천 수 0
◎ 艾灸治驗 ○ 一人發背醫療逾月勢益甚有張生者敎以艾灸其上至一百五十壯知痛乃止明日?去黑痂膿盡潰肉理背紅不復痛乃以膏藥貼之日一易易時剪去黑爛月餘乃平復[本事]

☞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 어떤 환자가 발배(發背)가 생긴 지 1달이 지났는데 치료하여도 증상이 점차 더 심해졌다. 그래서 장생(張生)이라는 의사가 헌데 중심에 뜸을 150장 뜨다가 아프기 때문에 더 뜨지 않았다. 그 다음날 검게 된 딱지를 떼어버렸더니 고름이 다 나오고 새살이 벌겋게 살아나면서 다시 아프지 않았다. 그 다음부터 하루에 한 번씩 고약을 갈아 붙이면서 검게 썩은 살을 뜯어냈는데 1달이 지나서 완전히 나았다[본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80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616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새(禽部)]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628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5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새(禽部)] 순육(?肉, 메추리 고기) 714
[새(禽部)] 계칙(??, 비오리) 577
[새(禽部)] 원앙(鴛鴦) 485
[새(禽部)] 촉옥(??) 525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천아육(天鵝肉, 고니고기) 437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새(禽部)] 어구(魚狗) 303
[새(禽部)] 구욕(??) 380
[새(禽部)] 박로(搏勞) 310
[새(禽部)] 제고취(??嘴) 317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