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백라창(白癩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619 추천 수 0
◎ 白癩瘡 ○ 癩風初起白屑剝落又一種每朝瘡上退白皮一升許如蛇?宜服解毒雄黃元(方見咽喉)兼服白花蛇丸[得效]

☞ 백라창(白癩瘡)

 ○ 백라창이란 문둥병의 초기에 흰 비듬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또 한 가지는 헌데에서 매일 아침마다 흰 비듬이 2홉 반 정도씩 일어나는 것도 있는데 뱀허물 벗듯 한다. 이런 데는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처방은 인후문에 있다)과 백화사환(白花蛇丸)을 함께 쓰는 것이 좋다[득효]. 

? 白花蛇丸 ○ 治癩風白屑瘡痒皮膚?燥白花蛇一條當歸二兩川芎白芷生地黃防風荊芥酒芩連翹胡麻子何首烏升麻羌活桔梗各一兩右爲末將浸蛇酒和水煮麵糊和丸梧子大茶淸下五七十丸[入門]
☞ 백화사환(白花蛇丸) ○ 문둥병으로 흰 비듬이 일어나고 헐면서 가렵고 피부가 쭈글쭈글해지면서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 백화사 1마리, 당귀 80g, 천궁, 백지, 생지황, 방풍, 형개, 황금(술에 법제한 것), 연교, 참깨(호마), 하수오, 승마, 강활, 길경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백화사를 담갔던 술에 물을 탄 다음 밀가루를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찻물로 먹는다[입문]. 

? 白花蛇酒法 ○ 治大風癩瘡白花蛇一條先蒸?米二斗缸底先安酒?次將蛇以絹袋盛之頓於?上然後以?飯和勻頓於蛇上以紙封缸口候三七日開取酒將蛇去皮骨焙乾爲末每溫酒一盞調蛇末一匙服之仍以酒脚幷糟做餠食之 ○ 烏蛇釀酒法亦同上[本草]
☞ 백화사술을 만드는 방법[白花蛇酒法] ○ 백화사술로는 문둥병을 치료한다. 이 술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항아리에 누룩을 조금 넣은 다음 백화사 1마리를 주머니에 넣어 누룩 위에 놓는다. 다음 찹쌀 2말로 밥을 지어서 누룩과 고루 섞어 백화사를 넣은 주머니 위에 다져 넣는다. 그 다음 물을 적당히 넣고 두꺼운 종이로 항아리 입구를 잘 막아서 3-7일 동안 두었다가 술을 받는다. 백화사는 껍질과 뼈를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내서 한번에 1숟가락씩 데운 백화사술 1잔에 타서 먹는다. 술지게미는 떡을 만들어 먹는다. ○ 오사술을 만드는 방법도 같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전후풍(纏喉風)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급후비(急喉痺)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단유아, 쌍유아, 후비[單乳蛾雙乳蛾喉痺]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백화사환(白花蛇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