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침치료[鍼法]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67 추천 수 0
◎ 鍼法 ○ ?瘡色紫黑先以三稜鍼刺去惡血冷水洗淨乃貼膏藥忌日光火氣陽氣如有黑腫未盡可再出血以紫黑血盡爲度[綱目]

☞ 침치료[鍼法]

 ○ 염창이 검붉게 되었을 때에는 먼저 삼릉침(三稜鍼)으로 찔러서 궂은 피[惡血]를 빼고 찬물로 씻은 다음 고약을 붙이고 햇볕이나 불기운에 쏘이지 말아야 한다. 만일 검게 부은 것이 채 내리지 않으면 다시 검붉게 된 피가 다 없어질 때까지 피를 빼야 한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467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벌레(蟲部)] 벌레부[蟲部] 467
[채소(菜部)] 고거(苦?) 467
[심병(審病)] 신(神), 성(聖), 공(工), 교(巧) 468
[변증(辨證)] 속으로 정신을 상한 것[內傷精神] 468
[잡방(雜方)] 헛것을 쫓아버리고 신명이 통하게 하는 방법[去鬼通神] 468
[흙(土部)]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68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9
[변증(辨證)] 장부병이 천천히 전해가는 것[臟腑病緩傳] 469
[제창(諸瘡)] 칠창(漆瘡) 469
[부인(婦人)] 침뜸치료[鍼灸法] 469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근(筋)] 침뜸치료[鍼灸法]/힘줄 470
[토[吐]] 토하게 하는 것은 옛날부터 써 온 방법이다[吐乃古法] 470
[온역(瘟疫)] 단방(單方) 470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감안(疳眼) 470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천지운기(天地運氣)] 객기(客氣) 471
[변증(辨證)] 온갖 병이 처음에 생기는 경위[百病始生] 471
[용약(用藥)] 허하고 실한 데 따라 보하거나 사해야 한다[虛實補瀉] 471
[풍(風)] 금기법(禁忌法) 471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잡방(雜方)]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解鬱氣] 471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