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동상[凍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689 추천 수 0
◎ 凍瘡 ○ 冬月凍瘡成瘡流水俗呼爲凍瘡宜用生附散白斂散如神散臘享膏[諸方] ○ 凍耳瘡爛貝母末乾?之[入門] ○ 足凍爛生瘡黃丹猪脂調付[得效] ○ 足?凍瘡潰破以川椒煎湯洗刮去腐肉鍼刺出血馬勃末調牛骨髓付之[綱目] ○ 凍瘡雄雉鷄腦一枚入黃蠟等分淸油減半熬膏塗之[入門] ○ 五倍子煎湯洗後取兎腦髓雀腦髓付之[本草]

☞ 동상[凍瘡]

 ○ 겨울에 얼어서 헌데가 생겨 진물이 나오는 것을 민간에서는 동창(凍瘡)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생부산, 백렴산, 여신산, 납향고를 쓰는 것이 좋다[제방]. ○ 귀가 얼어 터져 진무는 데는 패모가루를 쓰는데 마른 채로 뿌린다[입문]. ○ 발이 얼어 터져서 헌데가 된 데는 황단을 돼지기름에 개서 붙인다. ○ 발뒤꿈치가 얼어 터져서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산초(천초)를 달인 물로 씻고 궂은 살[腐肉]을 긁어버린 다음 침으로 찔러 피를 빼내야 한다. 그 다음 말버섯(마발)가루를 소의 골수에 개어 붙여야 한다[강목]. ○ 동상 때에는 수꿩이나 수탉의 골 1개와 이것과 같은 양의 황랍을 함께 참기름에 넣어서 절반이 되게 졸여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입문]. ○ 오배자를 달인 물로 씻은 다음 토끼골이나 참새골을 붙여도 된다[본초]. 

? 生附散 ○ 治凍瘡爛痛生附子爲末?水調付之[綱目]
☞ 생산(生附散) ○ 동상으로 진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생부자. ○ 위의 약을 가루내어 국수물에 개서 붙인다[강목]. 

? 白斂散 ○ 治凍耳成瘡黃栢白斂各五錢右爲末鹽湯洗後油調付之[得效]
☞ 백렴산(白斂散) ○ 귀가 얼어 허는 것을 치료한다. ○ 황백, 가위톱(백렴)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소금 끓인 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기름에 개어 붙인다[득효]. 

? 如神散 ○ 治凍瘡皮爛不可忍大黃細末新水調塗瘡上痛止立效[綱目]
☞ 여신산(如神散) ○ 동상으로 피가 진물면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대황. ○ 위의 약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개서 바르면 아픈 것이 멎고 곧 효과가 난다[강목]. 

? 臘享膏 ○ 治凍瘡猪脂?油各二兩半香油二合半海松子油一合松脂黃蠟各三兩七錢半右各煉去滓和合成膏先以藥水洗後塗之[俗方]
☞ 납향고(臘享膏) ○ 동상을 치료한다. ○ 돼지기름(저지), 오소리기름(단유) 각각 100g, 참기름 2홉 반, 잣기름(해송자유) 1홉, 송진, 황랍 각각 150g. ○ 위의 약들을 각기 졸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한데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고 바른다[속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콧구멍에 약을 불어 넣어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鼻退黃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손발이 트는 것[手足?裂] by 한닥터
  6. 방약합편 199. 如?散(여신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납향고(臘享膏)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납향고(臘享膏)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여신산(如神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백렴산(白斂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생부산(生附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여신산(如神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학질(?疾)] 한학(寒?) 843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플 때 세게 억누르는 약[心胃痛劫藥] 821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가슴(胸)] 궐심통(厥心痛) 816
[이빨(牙齒)]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801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전음(前陰)] 여러 가지 산증에 두루 쓰는 약[諸疝通治] 769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소아(小兒)] 만비풍(慢脾風) 701
[한(寒)] 고랭(痼冷) 699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부인(婦人)] 자림(子淋) 668
[창만(脹滿)] 겉에 붙이는 치료법[外敷法] 652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잡방(雜方)] 여러 가지 향처방 628
[한(寒)] 중한증(中寒證) 573
[풀(草部)] 권백(卷栢, 처손) 567
[곡식(穀部)] (豆腐) 565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전음(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疝痛劫藥] 511
[곡식(穀部)] 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풀(草部)] 포황(蒲黃, 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근(白部根) 454
[곡식(穀部)] (?, 밀기울) 423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