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동상[凍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689 추천 수 0
◎ 凍瘡 ○ 冬月凍瘡成瘡流水俗呼爲凍瘡宜用生附散白斂散如神散臘享膏[諸方] ○ 凍耳瘡爛貝母末乾?之[入門] ○ 足凍爛生瘡黃丹猪脂調付[得效] ○ 足?凍瘡潰破以川椒煎湯洗刮去腐肉鍼刺出血馬勃末調牛骨髓付之[綱目] ○ 凍瘡雄雉鷄腦一枚入黃蠟等分淸油減半熬膏塗之[入門] ○ 五倍子煎湯洗後取兎腦髓雀腦髓付之[本草]

☞ 동상[凍瘡]

 ○ 겨울에 얼어서 헌데가 생겨 진물이 나오는 것을 민간에서는 동창(凍瘡)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생부산, 백렴산, 여신산, 납향고를 쓰는 것이 좋다[제방]. ○ 귀가 얼어 터져 진무는 데는 패모가루를 쓰는데 마른 채로 뿌린다[입문]. ○ 발이 얼어 터져서 헌데가 된 데는 황단을 돼지기름에 개서 붙인다. ○ 발뒤꿈치가 얼어 터져서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산초(천초)를 달인 물로 씻고 궂은 살[腐肉]을 긁어버린 다음 침으로 찔러 피를 빼내야 한다. 그 다음 말버섯(마발)가루를 소의 골수에 개어 붙여야 한다[강목]. ○ 동상 때에는 수꿩이나 수탉의 골 1개와 이것과 같은 양의 황랍을 함께 참기름에 넣어서 절반이 되게 졸여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입문]. ○ 오배자를 달인 물로 씻은 다음 토끼골이나 참새골을 붙여도 된다[본초]. 

? 生附散 ○ 治凍瘡爛痛生附子爲末?水調付之[綱目]
☞ 생부산(生附散) ○ 동상으로 진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생부자. ○ 위의 약을 가루내어 국수물에 개서 붙인다[강목]. 

? 白斂散 ○ 治凍耳成瘡黃栢白斂各五錢右爲末鹽湯洗後油調付之[得效]
☞ 백렴산(白斂散) ○ 귀가 얼어 허는 것을 치료한다. ○ 황백, 가위톱(백렴)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소금 끓인 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기름에 개어 붙인다[득효]. 

? 如神散 ○ 治凍瘡皮爛不可忍大黃細末新水調塗瘡上痛止立效[綱目]
☞ 여신산(如神散) ○ 동상으로 피부가 진물면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대황. ○ 위의 약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개서 바르면 아픈 것이 멎고 곧 효과가 난다[강목]. 

? 臘享膏 ○ 治凍瘡猪脂?油各二兩半香油二合半海松子油一合松脂黃蠟各三兩七錢半右各煉去滓和合成膏先以藥水洗後塗之[俗方]
☞ 납향고(臘享膏) ○ 동상을 치료한다. ○ 돼지기름(저지), 오소리기름(단유) 각각 100g, 참기름 2홉 반, 잣기름(해송자유) 1홉, 송진, 황랍 각각 150g. ○ 위의 약들을 각기 졸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한데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고 바른다[속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해산할 임박에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할 약품[臨産預備藥物]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by 한닥터
  3. 동의보감 해산을 안전하게 하는 법[保産] by 한닥터
  4. 동의보감 콧구멍에 약을 불어 넣어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鼻退黃法]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손발이 트는 것[手足?裂] by 한닥터
  6. 방약합편 199. 如?散(여신산)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납향고(臘享膏)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납향고(臘享膏)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여신산(如神散)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백렴산(白斂散)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생부산(生附散)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여신산(如神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구급(救急)] 자기손으로 목을 매어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自縊死] 690
[물고기(魚部)] 점어(鮎魚, 메기) 690
[오줌(小便)]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689
[전음(前陰)] 혈산에 쓰는 약[血疝藥] 689
[학질(?疾)] 학질의 형태와 증상[?疾形證] 689
[학질(?疾)] 귀학(鬼?) 68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물고기(魚部)] 추어(鰍魚, 미꾸라지) 689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변증(辨證)] 용감한 사람과 비겁한 사람은 형체가 다르다[勇怯異形] 688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8
[부종(浮腫)] 약을 먹지 않고도 저절로 물이 빠지게 하는 방법[不服藥自去水方] 688
[머리(頭)]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687
[살(肉)] 살로써 살찌고 여윈 것을 표준한다[肉主肥瘦] 687
[기침(咳嗽)] 돌림기침[天行嗽] 687
[부종(浮腫)] 단방(單方) 687
[곡식(穀部)] 속미(粟米, 좁쌀)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687
[황달(黃疸)] 곡달(穀疸) 686
[채소(菜部)] 제채(薺菜, 냉이)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686
[화(火)]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양이 성하면 겉이 단다[陽虛外寒陽盛外熱] 685
[구토(嘔吐)] 단방(單方) 685
[구급(救急)] 중악(中惡) 685
[잡방(雜方)] 모기와 파리를 없애는 방법[?蚊蠅] 685
[물(水部)]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685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4
[머리(頭)] 설사시키는 방법[下法] 684
[골(骨)] 골위(骨?) 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