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569 추천 수 0
◎ 飜花瘡 ○ 飜出一肉突如菌或如蛇形長數寸雄黃爲末付之內服十全大補湯或八物湯(二方?見虛勞)倍參?歸朮外用藜蘆爲末猪脂調塗日一易候元氣漸復腫毒將盡時塗之則努肉自入否則雖入復出若誤用鍼刀蝕灸必危愼之[入門] ○ 中品錠子專治飜花瘡[入門] ○ 一名綿花瘡一名廣東瘡川芎天花粉各五錢輕粉二錢半朱砂雄黃各一錢二分半麝香五分右爲末蒸餠和丸菉豆大每服七丸至九丸溫酒下[正傳]

☞ 번화창(飜花瘡)

 ○ 번화창이란 헌데에서 살이 버섯 같이 삐져 나오거나 뱀 같이 생긴 살이 몇 치나 되게 삐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이런 데는 석웅황가루를 붙인 다음 십전대보탕이나 팔물탕(八物湯, 이 2가지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되 인삼, 황기, 당귀, 백출은 양을 곱으로 하여 넣어야 쓴다. 다음 박새뿌리가루(여로)를 돼지기름(저지)에 개서 날마다 한번씩 발라야 한다. 그러나 바르는 약은 원기가 점차 회복되고 헌데의 독이 다 없어져 갈 때에 발라야 삐져 나온 살이 저절로 들어갈 수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들어갔다가도 다시 나올 수 있다. 만일 함부로 침이나 칼질을 하거나 뜸을 뜨거나 녹이는 약을 쓰면 반드시 위험해지므로 조심해야 한다[입문]. ○ 중품정자(中品錠子)로는 번화창을 주로 치료한다[입문]. ○ 일명 면화창(綿花瘡) 또는 광동창(廣東瘡)이라고도 한다. 이런 데는 천궁, 천화분 각각 20g, 경분 10g, 주사, 석웅황 각각 5g, 사향(생것) 2g을 가루내어 증병에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한번에 7-9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정전]. 

? 中品錠子 ○ 專治飜花瘡及?瘤白礬三兩八錢半乳香沒藥各五錢半朱砂三錢牛黃七分半?砂五分熟五分生砒?一兩半火?黑烟止用淡靑烟石爲末?糊和勻捻作錠子量瘡揷入[入門]
☞ 중품정자(中品錠子) ○ 주로 번화창(飜花瘡)과 영류(?瘤)를 치료한다. ○ 백반 154g, 유향, 몰약 각각 22g, 주사 12g, 우황 3g, 노사(절반은 구운 것, 절반은 생것) 4g, 비상(검은 연기가 나다가 멎고 푸르스름한 연기가 날 때까지 불에 달군 것) 6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고루 반죽한 다음 약심지를 만들어 헌데에 맞게 꽂아 넣는다[입문]. 

◎ 單方 ○ 治飜花瘡馬齒?燒灰猪脂調付[本草]柳枝葉濃煎作膏塗之[本草]
☞ 단방(單方) ○ 번화창에는 쇠비름(마치현)을 태워 가루내서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 버드나무가지나 잎을 진하게 달여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중품정자(中品錠子)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83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3
[포(胞)] 혈고(血枯) 1205
[오줌(小便)] 기림(氣淋) 1210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8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젖(乳)] 유옹(乳癰) 1509
[옆구리(脇)] 건협통(乾脇痛) 891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피부(皮)] 색택증(索澤證) 1196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8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1457
[제창(諸瘡)] 염창(?瘡) 918
[제창(諸瘡)] 번화창(飜花瘡) 569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부인(婦人)] 해산 후에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는 것[産後見鬼?妄] 784
[부인(婦人)]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1000
[부인(婦人)]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827
[부인(婦人)] 달이 지났어도 해산하지 못하는 것[過月不産] 767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