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월식창(月蝕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11 추천 수 0
◎ 月蝕瘡 ○ 小兒多有之生耳後隨月盛衰胡粉炒黃枯白礬黃丹黃連輕粉各二錢乾?脂一錢麝香少許右爲末香油調塗[入門] ○ 又黃連姑礬末付之妙[本草]

☞ 월식창(月蝕瘡)

○ 어린이에게 많이 생기는데 귀 뒤에 생긴다. 그리고 달이 둥굴어지면 헌데도 커지고 달이 이즈러지면 헌데도 작아진다. 이런 데는 호분(노랗게 되도록 볶은 것), 백반(구운 것), 황단, 황련, 경분 각각 8g, 연지(마른 것) 4g, 사향 조금 등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입문]. ○ 또는 황련과 백반(구운 것)을 가루내어 붙여도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토[吐]] 토하는 것을 멈추는 방법[止吐法] 1356
[토[吐]] 단방(單方)/토하게 하는 것 589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토[吐]] 하천고(霞天膏) 630
[한(汗)] 땀[汗] 566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한(汗)] 한증하여 땀을 내는 것[蒸劫發汗] 520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한(汗)]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不可汗證] 520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한(汗)] 해기(解肌) 538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하(下)] 설사[下] 417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하(下)]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促下法] 524
[하(下)] 설사를 너무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下多亡陰] 495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