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내감창(內疳瘡)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386 추천 수 0
◎ 內疳瘡 ○ 生於口上#初發如蓮花根?小而下垂乃大治法以鉤刀決其根燒鐵烙以止其血次以雄黃輕粉粉霜白芷白斂爲末付之以槐枝作枕支其牙頰間毋使口合一兩時許瘡瘢定合口自便次日出膿生肌散付之[入門]

☞ 내감창(內疳瘡)

 ○ 윗 잇몸 안쪽에 생기는데 초기에는 부르튼 것이 연꽃 같고 뿌리는 작으며 아래로 처지면서 커진다.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꼬부라진 칼로 헌데 뿌리를 째고 화침으로 지져서 피를 멎게 한 다음 웅황, 경분, 백령사(분상), 백지, 가위톱(백렴)을 가루내어 붙인다. 다음 홰나무가지를 토막지게 잘라서 아래 위 어금니 사이에 물려 입을 다물지 못하게 한다. 그 다음 2-4시간 지나면 헌데 딱지가 앉는데 이 때에 입을 다무는 것이 좋다. 다음날 고름이 나오면 생기산을 붙여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토[吐]] 토하는 것을 멈추는 방법[止吐法] 1356
[토[吐]] 단방(單方)/토하게 하는 것 589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토[吐]] 하천고(霞天膏) 630
[한(汗)] 땀[汗] 566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한(汗)] 한증하여 땀을 내는 것[蒸劫發汗] 520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한(汗)]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不可汗證] 520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한(汗)] 해기(解肌) 538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하(下)] 설사[下] 417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하(下)]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促下法] 524
[하(下)] 설사를 너무 시키면 망음증이 생긴다[下多亡陰] 495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
[하(下)] 설사를 몹시 시킨 다음 설사가 멎지 않는 것[大下後難禁] 755
[하(下)] 설사시키는 약[下藥] 1222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