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창(諸瘡)

단방(單方)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52 추천 수 0
◎ 單方 ○ 治惡瘡及諸瘡生胡麻油塗之妙生麻油亦可[本草] ○ 馬齒?爛搗付上便愈[本草] ○ 熊膽汁塗之妙犬膽亦可[本草] ○ 蟾?燒灰油調付諸惡瘡甚妙[本草] ○ 久遠惡瘡不差蛇?皮燒灰猪脂調付[本草] ○ 朝生暮落花一名鬼盖卽朝菌也生糞穢處如菌作末和油塗之甚佳牛糞上黑菌尤佳[本草] ○ 一切惡瘡??十枚端午日收乾作末油調付[本草] ○ 臘猪脂療惡瘡和雄黃輕粉付之妙[正傳] ○ ?鼠膏主惡瘡塗之妙[本草] ○ 經霜芭蕉葉爲末香油調付[丹心] ○ 石灰淋取汁溫洗妙[本草] ○ 雄黃硫黃治惡瘡爲第一[本草] ○ 一婦人臍下連二陰患惡瘡熱痒而痛大小便澁出黃汁百治不差有人敎先以溫水洗拭取馬齒?四兩靑黛一兩同硏勻付瘡上乾則易新者仍服八正散(方見小便)二十日全愈[本草] ○ 諸惡瘡貝母末入雄黃少許?之[本草]

☞ 단방(單方)

 ○ 악창과 여러 가지 헌데에는 날참기름을 바르는 것이 좋다. 날삼씨기름을 발라도 좋다[본초]. ○ 쇠비름(마치현)을 잘 짓찧어 헌데에 붙이면 잘 낫는다[본초]. ○ 웅담즙을 바르면 좋은데 개담[犬膽]을 써도 좋다[본초]. ○ 두꺼비(섬여)를 태워 재를 내서 기름에 개어 여러 가지 악창에 붙이면 아주 좋다[본초]. ○ 악창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는 사태@)을 태워 가루내서 돼지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 여러 가지 악창에는 말똥구리(강랑) 10마리를 잡아 말려 가루내서 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으로 악창을 치료하는데 여기에 석웅황과 경분을 개서 붙이면 좋다[정전]. ○ 두더지기름(언서고)은 악창을 치료하는데 바르는 것이 좋다[본초]. ○ 서리맞은 파초잎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붙인다[단심]. ○ 석회(石灰)에 물을 붓고 잿물을 받듯이 물을 받아 그 물을 따뜻하게 하여 씻으면 좋다[본초]. ○ 석웅황과 유황은 악창을 치료하는데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 어떤 부인이 배꼽 아래에서부터 항문에까지 악창이 생겨 열이 나면서 가렵고 아프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누런 진물이 나왔는데 여러 가지 치료를 하여도 낫지 않았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먼저 따뜻한 물로 헌데를 씻고 쇠비름(마치현) 160g과 청대 40g을 함께 넣고 고루 갈아 헌데에 붙이되 마르면 새 것으로 갈아 붙이고 연이어 팔정산(八正散, 처방은 소변문에 있다)을 먹으라고 알려주었다. 그리하여 그대로 하였는데 20일 만에 완전히 나았다[본초]. ○ 여러 가지 악창에는 패모를 가루내서 석웅황 조금과 섞어 뿌린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하(下)] 설사[下] 417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한(汗)] 해기(解肌) 538
[한(汗)] 땀을 많이 내면 망양증이 생긴다[汗多亡陽] 560
[한(汗)] 땀을 내지 말아야 할 증[不可汗證] 520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한(汗)] 땀을 자주 내면 수명이 짧아진다[促汗夭壽] 557
[한(汗)] 한증하여 땀을 내는 것[蒸劫發汗] 520
[한(汗)] 땀을 천천히 내는 것과 빨리 내는 것[發汗緩急] 472
[한(汗)] 땀을 내는 방법[發汗法] 772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汗)] 땀[汗] 566
[토[吐]] 하천고(霞天膏) 630
[토[吐]] 도창법의 의의[倒倉之義] 49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토[吐]] 도창법(倒倉法) 825
[토[吐]] 단방(單方)/토하게 하는 것 589
[토[吐]] 토하는 것을 멈추는 방법[止吐法] 1356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토[吐]] 토하게 하지 말아야 할 증[不可吐證] 520
[토[吐]] 토하게 해야 할 증[可吐證] 487
[토[吐]] 약을 코로 넣어 주는 방법[灌鼻法] 503
[토[吐]] 토하도록 돕는 방법[助吐法] 565
[토[吐]]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553
[토[吐]] 토하게 하는 약[吐藥] 1010
[토[吐]] 용토제는 쓰기가 어렵다[涌劑難用] 502
[토[吐]]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病在上宜吐] 501
[토[吐]] 토하게 하는 것은 옛날부터 써 온 방법이다[吐乃古法]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