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60 추천 수 0
◎ 金瘡脈候 ○ 金瘡出血太多其脈虛細者生數實者死 ○ 金瘡出血脈沈小者生浮大者死斫刺出血不止脈來大者七日死滑細者生[脈經] ○ 金瘡出血虛細則宜實大則傾[得效] ○ 傷雖淺命脈虛促可慮傷至重命脈和緩永無慮也 ○ 血出甚者脈不要洪大只要平正重實[得效]

☞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 쇠붙이에 상하여 피를 많이 흘렸을 때에 맥(脈)이 허세(虛細)하면 살고 삭실(數實)하면 죽을 수 있다. ○ 또는 쇠붙이에 상하여 피가 나온 다음 맥이 침소(沈小)하면 살고 부대(浮大)하면 죽을 수 있다. 찍혔거나 찔려서 피가 멎지 않고 나오면서 맥이 대(大)하면 7일 만에 죽을 수 있고 활세(滑細)하면 산다[맥경]. ○ 쇠붙이에 상하여 피가 나온 다음 맥이 허세(虛細)하면 좋고 실대(實大)하면 위험하다[득효]. ○ 비록 깊이 상하지는 않았어도 이 때에 명문맥[命脈]이 허촉(虛促)하면 위험하다. 심하게 상하였으나 명문맥이 고르고[和] 완[緩]하면 우려할 것이 없다. ○ 피가 많이 나온 다음 맥이 홍대(洪大)하면 좋지 못하고 고르로우면[平正] 좋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갈(消渴)] 맥 보는 법[脈法] 637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소갈(消渴)] 식역증(食?證) 746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소변이 달다[消渴小便甛] 808
[소갈(消渴)] 소갈은 신화가 쇠약하여 생긴다[消渴由坎火衰少] 718
[소갈(消渴)] 소갈은 각기와 서로 반대이다[消渴與脚氣相反] 577
[소갈(消渴)] 소갈을 두루 치료하는 약[消渴通治藥] 2056
[소갈(消渴)] 주갈(酒渴) 956
[소갈(消渴)] 충갈(蟲渴) 583
[소갈(消渴)] 강중증(强中證) 789
[소갈(消渴)] 소갈이 변한 증상[消渴傳變證] 913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반드시 옹저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消渴須預防癰疽] 1041
[소갈(消渴)]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817
[소갈(消渴)] 꺼릴 것[禁忌法] 589
[소갈(消渴)] 단방(單方) 691
[황달(黃疸)] 황달의 원인[黃疸之因] 704
[황달(黃疸)] 황달에는 5가지가 있다[黃疸有五] 590
[황달(黃疸)] 황달(黃疸) 649
[황달(黃疸)] 주달(酒疸) 612
[황달(黃疸)] 곡달(穀疸) 686
[황달(黃疸)] 여로달(女勞疸) 646
[황달(黃疸)] 황한(黃汗) 718
[황달(黃疸)] 맥 보는 법[脈法] 557
[황달(黃疸)]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黃疸治法] 839
[황달(黃疸)] 황달(黃疸) 치료법 1076
[황달(黃疸)] 주달(酒疸) 치료법 704
[황달(黃疸)] 곡달(穀疸) 치료법 890
[황달(黃疸)] 여로달(女勞疸) 치료법 648
[황달(黃疸)] 황한(黃汗) 치료법 731
[황달(黃疸)] 주달이 제일 위중하다[酒疸最重]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