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화살촉이나 날이 선 쇠붙이가 뼈나 혈맥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것[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501 추천 수 0
◎ 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 白斂半夏等分爲末每取一錢淡薑湯調服日三至二十日自出[入門] ○ 箭鏃及鍼入肉不出象牙屑和水塗其上又??取汁頻塗又鼠腦塗之又好磁石着其上自出[聖惠]

☞ 화살촉이나 날이 선 쇠붙이가 뼈나 혈맥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것[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 이런데는 가위톱(백렴)과 반하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연한 생강 달인 물에 타서 하루 3번 먹는데 20일 동안 쓰면 저절로 나온다[입문]. ○ 화살촉과 바늘이 살에 들어가 나오지 않는 데는 상아를 쓰는데 가루내어 물에 개서 바른다. 또는 도르래즙(누고즙)을 내서 자주 바르거나 쥐의 골수를 발라도 좋다. 또는 좋은 지남석을 화살촉이나 바늘이 들어간 자리에 대고 있어도 저절로 나온다[성혜].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용약(用藥)] 최근의 의학이론에 대하여[近世論醫] 504
[용약(用藥)] 보하고 사하는 묘한 비결[補瀉妙訣] 504
[하(下)] 단방(單方) /하(下) 504
[부인(婦人)] 겉에 약을 붙이는 법[外貼法] 504
[목구멍(咽喉)] 잘못하여 여러 가지 벌레를 삼킨 것[誤呑諸蟲] 503
[심병(審病)]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503
[토[吐]] 약을 코로 넣어 주는 방법[灌鼻法] 503
[풍(風)] 비증 때에는 흔히 마목을 겸하게 된다[痺病多兼麻木] 503
[한(寒)] 상한 때 토하게 할 수 있는 증[傷寒可吐證] 503
[제상(諸傷)] 단방(單方) 503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채소(菜部)] 제니(薺?) 503
[채소(菜部)] 군달(??, 근대) 503
[눈(眼)] 피물당타(被物撞打) 502
[천지운기(天地運氣)] 6임년(六壬年)은 발생(發生)의 해[六壬年發生之紀] 502
[용약(用藥)] 약을 쓸 때에는 반드시 시금(時禁), 경금(經禁), 병금(病禁), 약금(藥禁)을 알아야 한다[凡用藥必知時禁經禁病禁藥禁] 502
[토[吐]] 봄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春宜吐] 502
[토[吐]] 용토제는 쓰기가 어렵다[涌劑難用] 502
[토[吐]] 척맥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下部脈不見宜吐] 502
[괴질(怪疾)] 괴상한 병은 보통병과 다르다[怪疾異常] 502
[소아(小兒)] 뇌감(腦疳) 502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눈(眼)] 산곽(山廓) 501
[후음(後陰)] 항문의 무게와 치수[肛門重數] 501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의 객기를 가로 세로 보는 표[六十年客氣旁通圖] 501
[토[吐]] 상초에 병이 있을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病在上宜吐] 501
[한(寒)] 양명증 때 조열이 나는 것[陽明證潮熱] 501
[사수(邪崇)] 10주, 5시[十?五尸] 501
[제상(諸傷)] 화살촉이나 날이 선 쇠붙이가 뼈나 혈맥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 것[箭鏃及金刃中骨脈不出] 501
[제상(諸傷)] 미친개 독이 심으로 들어간 것[狂犬毒入心]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