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귀, 코, 혀가 상하여 떨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傷斷耳鼻舌方]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81 추천 수 0
◎ 療傷斷耳鼻舌方 ○ 治擦落耳鼻用油髮灰末乘急以所落耳鼻?髮灰綴定以軟帛縛定有人爲驢所咬下鼻一僧用此綴之神效[綱目] ○ 自行顚?穿斷舌心血出不止取米醋以鷄翎刷所斷處其血卽止仍用蒲黃杏仁鵬砂少許爲末蜜調?化而愈[綱目] ○ 接指方蘇木爲末敷斷指間接定外用蠶繭包縛完固數日如故[入門] ○ 一人落馬被所?鎖匙傷破陰囊二丸脫落懸掛未斷痛苦無任諸藥不效予敎人漫漫托上多取壁錢敷貼傷處日漸就安其囊如故[醫鑑]

☞ 귀, 코, 혀가 상하여 떨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傷斷耳鼻舌方]

 ○ 무엇에 긁혀[擦] 귀나 코가 약간 떨어졌을 때에는 기름 먹은 머리칼 태운재를 떨어진 귀나 코에 묻혀서 제자리에 대고 꿰맨 다음 부드러운 천으로 동여맨다. 어떤 사람이 나귀에 물려 코가 떨어졌을 때 한 중이 이 방법대로 붙이고 꿰매주었는데 빨리 나았다고 한다[강목]. ○ 길을 가다가 엎어져서 혀의 가운데가 잘라져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 쌀초[米醋]를 닭의 깃에 묻혀 상처에 발랐는데 피가 곧 멎었다. 그 다음 이어서 포황, 행인, 붕사를 조금씩 가루내어 봉밀에 개서 입에 넣고 녹여 넘겼는데 나았다[강목]. ○ 손가락이 잘라진 것을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소목(蘇木)을 가루내어 잘라진 손가락에 바르고 마주 붙인 다음 겉을 누에고치로 싸고 잘 동여매두면 며칠 사이에 이전과 같이 된다[입문]. ○ 어떤 사람이 말에서 떨어지면서 자기가 차고 있던 열쇠에 다쳐 음낭이 터져서 양쪽 고환이 다 빠져 나왔는데 완전히 떨어지지는 않고 달려 있으면서 참을 수 없이 아팠다. 그래서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리하여 내가 사람을 시켜서 고환을 천천히 밀어 넣어주게 한 다음 납거미집(벽전)을 많이 가져다 상처에 붙여주도록 하였다. 그랬더니 날마다 점차 편안해지면서 고환이 이전과 같이 되었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광(紫?) 8
[풀(草部)] 상산(常山) 13
[풀(草部)] 관중(貫衆) 13
[돌[石部]] 증청(曾靑) 13
[돌[石部]] 석담(石膽) 14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여여(?茹) 15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풀(草部)] 속수자(續隨子) 16
[풀(草部)] 목적(木賊, 속새) 16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등심초(燈心草, 골풀) 17
[풀(草部)] 초호(草蒿, 제비쑥) 18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원화(?花) 19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돌[石部]] 자황(紫黃) 20
[풀(草部)] 대황(大黃) 2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풀(草部)] 사함(蛇含, 사함초) 22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하고초(夏枯草, 꿀풀) 22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돌[石部]] 염정(鹽精) 23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돌[石部]] 홍반(紅礬) 24
[돌[石部]] 방해석(方解石, 차돌) 24
[풀(草部)] 정력자(??子, 꽃다지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