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단방(單方)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82 추천 수 0
◎ 單方 ○ 凡五種
☞ 단방(單方) ○ 모두 5가지이다. 

? 蘿蔔根 ○ 治杖瘡皮不破而內損者蘿蔔根搗爛?傷處良[種杏]
☞ 나복근(蘿蔔根, 무우) ○ 매맞은 자리가 헐어 곪았으나 터지지는 않고 속으로만 상한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상처에 붙이면 좋다[종행]. 

? 馬糞 ○ 治杖瘡入風疼痛馬或驢濕糞替換熱?日五十遍極效[本草]
☞ 마분(馬糞) ○ 매맞은 상처에 풍사가 들어가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말이나 나귀의 습(濕)한 분(糞)을 뜨겁게 하여 천에 싸서 찜질하는데 하루 50여 번씩 갈아 대면서 하면 아주 좋다[본초]. 

? 沒藥 ○ 主杖瘡腫痛不可忍細硏取一錢熱酒調服妙[本草]
☞ 몰약(沒藥) ○ 주로 매맞은 상처가 붓고 참을 수 없이 아픈데 쓴다. 부드럽게 갈아 한번에 4g씩 따끈한 술에 타서 먹으면 좋다[본초]. 

? 鼠 ○ 治打傷瘡生鼠一枚和腸??油半斤煎令焦黑收之以鷄羽?付瘡上妙[本草]
☞ 서(鼠, 쥐) ○ 매맞은 상처를 치료한다. 쥐 1마리를 산 채로 잡아 내장 채로 썬 다음 기름 300g에 넣고 검게 타지도록 졸여서 닭의 깃에 묻혀 상처에 바르면 좋다[본초]. 

? 飴糖 ○ 治打損瘀血飴糖熬和酒服能下惡血[本草]
☞ 이당(飴糖, 엿) ○ 타박을 당하여 어혈진 것을 치료한다. 엿을 달여 술에 타서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궂은 피[惡血]가 나온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한산(寒疝) 548
[한(寒)] 양명병의 음결과 양결[陽明病陰陽結] 548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짐승(獸部)] 미지(?脂, 고라니 기름) 미용(?茸) 미각(?角) 548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가슴(胸)] 혈결흉(血結胸)/가슴 547
[배(腹)] 충으로 배가 아픈 것[蟲腹痛] 547
[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547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547
[물(水部)] 급류수(急流水) 547
[눈(眼)] 화곽(火廓) 546
[목(頸項)] 목의 부위[頸項部位] 546
[옆구리(脇)] 단방(單方)/옆구리 546
[옆구리(脇)] 침뜸치료[鍼灸法]/옆구리 546
[발(足)] 다리병 때 예후가 나쁜 증상[脚病凶證] 546
[해독(解毒)] 멀구슬나무중독[苦練毒] 546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물(水部)]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546
[목(頸項)] 풍부는 보호해야 한다[風府宜護] 545
[젖(乳)] 유옹은 나이가 많으면 잘 낫지 않는다[乳癰年高不治] 545
[배꼽(臍)] 배꼽은 몸의 중심에 있다[臍居一身之中] 545
[용약(用藥)] 약은 간단하면서 요긴한 것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藥貴簡要] 545
[곽란(?亂)] 맥 보는 법[脈法] 545
[부인(婦人)] 해산하려는 증후[欲産候] 545
[부인(婦人)] 코피[?血] 545
[물(水部)]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을 말한다.)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