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단방(單方)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82 추천 수 0
◎ 單方 ○ 凡五種
☞ 단방(單方) ○ 모두 5가지이다. 

? 蘿蔔根 ○ 治杖瘡皮不破而內損者蘿蔔根搗爛?傷處良[種杏]
☞ 나복근(蘿蔔根, 무우) ○ 매맞은 자리가 헐어 곪았으나 터지지는 않고 속으로만 상한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상처에 붙이면 좋다[종행]. 

? 馬糞 ○ 治杖瘡入風疼痛馬或驢濕糞替換熱?日五十遍極效[本草]
☞ 마분(馬糞) ○ 매맞은 상처에 풍사가 들어가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말이나 나귀의 습(濕)한 분(糞)을 뜨겁게 하여 천에 싸서 찜질하는데 하루 50여 번씩 갈아 대면서 하면 아주 좋다[본초]. 

? 沒藥 ○ 主杖瘡腫痛不可忍細硏取一錢熱酒調服妙[本草]
☞ 몰약(沒藥) ○ 주로 매맞은 상처가 붓고 참을 수 없이 아픈데 쓴다. 부드럽게 갈아 한번에 4g씩 따끈한 술에 타서 먹으면 좋다[본초]. 

? 鼠 ○ 治打傷瘡生鼠一枚和腸??油半斤煎令焦黑收之以鷄羽?付瘡上妙[本草]
☞ 서(鼠, 쥐) ○ 매맞은 상처를 치료한다. 쥐 1마리를 산 채로 잡아 내장 채로 썬 다음 기름 300g에 넣고 검게 타지도록 졸여서 닭의 깃에 묻혀 상처에 바르면 좋다[본초]. 

? 飴糖 ○ 治打損瘀血飴糖熬和酒服能下惡血[本草]
☞ 이당(飴糖, 엿) ○ 타박을 당하여 어혈진 것을 치료한다. 엿을 달여 술에 타서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궂은 피[惡血]가 나온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눈병은 표리와 허실을 구분해야 한다[眼病當分表裏虛實] 454
[화(火)] 비열(脾熱) 1384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풀(草部)]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744
[풀(草部)] 창포(菖蒲, 석창포) 592
[풀(草部)]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풀(草部)] 인삼(人蔘) 1151
[풀(草部)] 천문동(天門冬) 588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
[풀(草部)]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710
[풀(草部)] 백출(白朮, 흰삽주) 창출(蒼朮, 삽주) 897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78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세신(細辛) 539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적전(赤箭)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