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553 추천 수 0
◎ 狂犬傷出毒法 ○ 宜用扶危散 ○ 防風五錢大黃黑丑頭末各三錢斑猫一錢麝香三分雄黃二錢半右爲末每二錢滾水調服惡物從小便而出[入門] ○ 狂犬傷?蚓糞封之出犬毛神效[本草] ○ 又生麻油硏豆?爲膏丸如彈子大常常?拭所咬處却?開看?丸內若有狗毛茸茸然此毒氣已出?至無茸毛方乃?可[十三方]

☞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위산(扶危散)을 쓰는 것이 좋다. ○ 방풍 20g, 대황, 흑축(맏물가루[頭末]) 각각 12g, 반묘 4g, 사향 1.2g, 석웅황 10g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끓는 물에 타서 먹으면 소변으로 독기가 빠진다[입문].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지렁분[?蚓糞]을 붙여서 개털 같은 것이 나오면 독기가 빠진 것이다[본초]. ○ 또는 날참기름[生麻油]에 약전국(豆?)을 넣고 고약처럼 되게 갈아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늘 물린 곳에 대고 문지르다가 쪼개본다. 이 때에 알약 속에 개털 같은 것이 송송히 들어 있으면 독기가 빠져 나오는 것인데 털 같은 것이 들어 있지 않을 때까지 문질러야 완전히 빠진다[십삼방]. 

? 扶危散 ○ 治風狗咬斑猫七日內用七箇七日外每日加一箇十日十箇百日百箇去翅足?米同炒滑石一兩雄黃一錢麝香一字右爲末溫酒調服不飮酒者米飮下毒從大小便出卽愈[醫鑑]
위산(扶危散) ○ 미친개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 ○ 반묘(물린 지 7일 이내에는 7개를 쓰고 7일 후부터는 날마다 1개씩 더 늘려 써서 열흘이면 10개, 100일이면 100개를 쓴다. 그리고 날개와 발을 버리고 찹쌀과 같이 볶는다), 활석 40g, 웅황 4g, 사향 1g. ○ 위의 약들을 함께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먹는데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미음에 타서 먹으면 독기가 대소변으로 나가고 낫는다[의감].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부위산(扶危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수평(水萍) 평(浮萍, 개구리밥) 386
[풀(草部)] 근(白部根) 454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2
[머리(頭)] 담훈(痰暈) 1431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허는데 뿌리는 약[口舌瘡?付藥] 650
[이빨(牙齒)] 찬 기운으로 이빨이 아픈 것[寒痛] 816
[이빨(牙齒)] 이빨에 바르고 문지르는 약[齒病塗擦方] 801
[배(腹)] 배 아픈 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2286
[허리(腰)] 습으로 허리가 아픈 것[濕腰痛] 1082
[전음(前陰)] 산증으로 아픈 것을 잘 멎게 하는 약[疝痛劫藥] 511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3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한(寒)] 상한음독(傷寒陰毒) 704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2
[습(濕)] 한습(寒濕) 2013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기침(咳嗽)] 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해학(??) 1654
[제창(諸瘡)] 동상[凍瘡] 689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곡식(穀部)] (?, 밀기울) 423
[곡식(穀部)] 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풀(草部)] 자(附子) 139
[풀(草部)] 사간(射干, 범채)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