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단방(單方)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480 추천 수 0
◎ 單方 ○ 凡六種
☞ 단방(單方) ○ 모두 6가지이다. 

? 白礬 ○ ?犬咬白礬末納瘡中止痛速愈[本草]
☞ 백반(白礬)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가루내어 물린 상처 속에 넣으면 아픈 것이 멎고 빨리 낫는다[본초]. 

? 葛根 ○ 狂犬咬葛根?取汁服之洗之滓付傷處[本草]
☞ 갈근(葛根) ○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짓찧어 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씻기도 한 다음 찌꺼기를 상처에 붙인다[본초]. 

? 杏仁 ○ 殺狗毒作粥常食之又?爛貼傷處最佳[本草]
☞ 행인(杏仁) ○ 개독을 푸는데 늘 죽을 쑤어 먹으면서 짓찧어 상처에도 붙이면 아주 좋다[본초]. 

? 野菊 ○ 主風狗咬硏細酒調服盡醉止效[綱目]
☞ 야국(野菊, 들국화) ○ 주로 미친개한테 물렸을 때 부드럽게 갈아 술에 타서 취하도록 먹으면 효과가 있다[강목]. 

? ?麻子 ○ 主犬咬傷取五十粒去殼硏爲膏付之[綱目]
☞ 비마자(?麻子, 아주까리씨) ○ 주로 개한테 물려서 상한데 쓴다. 50알을 껍질을 버리고 고약처럼 되게 갈아서 붙인다[강목]. 

? 蟾? ○ 卽蝦?也主狂犬咬發狂欲死作膾食之勿令知又取後兩腿?爛酒調服亦佳[本草]
☞ 섬여(蟾?, 두꺼비) ○ 주로 미친개한테 물려서 미쳐 죽을 것같이 된 데 쓴다. 회를 쳐서 먹이는데 환자가 알지 못하고 먹게 해야 한다. 또는 뒷다리 2개를 짓찧어 술에 타서 먹여도 역시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피난갈 때 어린이가 울지 않게 하는 방법[避難止小兒哭法] 480
[눈(眼)]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같은 것[眼中生火] 481
[눈(眼)] 눈을 보고 병의 예후가 나쁜 것을 안다[目視凶證] 481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1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제상(諸傷)] 귀, 코, 혀가 상하여 떨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傷斷耳鼻舌方] 481
[구급(救急)] 침뜸치료[鍼灸法]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근(筋)] 힘줄과 살이 푸들거리는 것[筋?肉?] 482
[전음(前陰)] 산증 때 위험한 증상[疝病危證] 482
[풍(風)]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482
[제상(諸傷)] 단방(單方) 482
[제상(諸傷)] 단방(單方) 482
[괴질(怪疾)] 배가 쇠나 돌 같이 된 것[腹如鐵石] 482
[잡방(雜方)] 음련추석법(陰煉秋石法) 482
[부인(婦人)] 자번(子煩) 482
[부인(婦人)] 해산 후에 말을 못하는 것[産後不語] 482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젖(乳)] 젖먹이가 없으면 젖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無兒則當消乳] 483
[머리털(毛髮)] 부인은 수염이 없다[婦人無鬚] 483
[변증(辨證)] 4철 생기는 병[四時生病] 484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적취(積聚)] 징가 때 찜질하는 방법[??法] 484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84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84
[제상(諸傷)] 꺼릴 것[禁忌法] 484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