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상(諸傷)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한닥터 2011.10.05 조회 수 385 추천 수 0
? 蜈蚣咬傷 ○ 蜈蚣咬人傷痛取蜘蛛安咬處當自吸毒如死而痛未止更易生者如蜘蛛死卽投水中救活[綱目] ○ 蛇含草?付之又蝸牛取汁滴入咬處又烏鷄血及屎塗之 ○ 桑白皮汁或獨頭蒜硏塗之又人頭垢塗之不痛不痒 ○ 又淸油點燈取烟熏之又鹽湯漬之又黃蠟火上熔汁滴患處[本草]

☞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 왕지네(오공)한테 물려서 아플 때에는 거미(지주)를 산 채로 물린 자리에 놓아둔다. 그러면 거미가 그 독을 빨아먹고 죽은 것처럼 된다. 그래도 계속 아프면 다시 산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 거미가 죽을 것같이 되면 곧 물에 놓아주어서 살린다[강목]. ○ 사함초(蛇含草)를 비벼서 붙인다. 달팽이(와우)즙을 물린 곳에 떨구어놓는다. 또는 오계(烏鷄)의 피와 계시를 바른다. ○ 상백피즙(상백피즙)이나 통마늘을 갈아서 붙인다. ○ 참기름에 불을 붙여 그 연기를 쏘인다. 또는 소금 끓인 물에 담가도 좋다. 불에 녹인 황랍을 물린 자리에 떨구어 놓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구욕(??) 380
[제상(諸傷)]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381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눈(眼)] 양극난임(痒極難任) 383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제상(諸傷)]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385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제창(諸瘡)] 내감창(內疳瘡) 386
[눈(眼)]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잡방(雜方)] 홍소주를 만드는 방법[造紅燒酒法] 387
[벌레(蟲部)] 오사(烏蛇) 387
[풀(草部)] 방기(防己) 388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소아(小兒)] 치경(?痙) 388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괴질(怪疾)] 송곳처럼 생긴 살이 나오는 것[肉出如錐] 389
[부인(婦人)] 방안에 일유신이 있는 곳[房中日遊神所在]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전호(前胡) 390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