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독(解毒)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422 추천 수 0
? 諸獸肉毒 ○ 解六畜肉毒犀角濃磨汁一椀服之[本草] ○ 食馬獸六畜肉中毒水浸豆?絞取汁數升服之[綱目] ○ 食自死六畜肉中毒黃栢末二三錢水調服不解再服[入門] ○ 食自死鳥獸肝中毒取人頭垢一錢熱湯化服[本草] ○ 食諸肉中毒或吐下血胡?子一升煮取汁停冷每服半升日二又胡?一升煮取汁冷服半升又生?汁飮之又燒猪骨末和水服又犬屎燒灰和酒服[本草] ○ 凡肉盛密器盖之隔宿者名爲鬱肉又茅屋漏水沾濕脯名爲漏脯皆有毒害人黑豆濃煎汁飮數升又燒犬屎末和酒服又??取汁服一二升又多飮人乳汁又燒人屎和酒服[本草] ○ 食牛馬肉及肝中毒先?頭髮令寸長拌好土作?泥二升合和飮之須臾髮皆貫所食肝出卽愈又人乳汁飮一二升亦立愈[本草] ○ 食馬肉中毒欲死香?二兩杏仁三兩和蒸一炘久熟杵服日二又蘆根煮取汁飮一二升又多飮淸酒卽解濁酒卽加[本草] ○ 食馬肝中毒人頭垢和水服又雄鼠屎三七枚硏和水服[本草] ○ 食狗肉不消心下堅脹口乾發熱妄語煮蘆根取汁飮之又杏仁一升去皮硏水三升煎去滓分三服利下血片爲效[本草] ○ 食牛羊肉中毒煮甘草汁服一二升[本草] ○ 食生肉中毒地漿飮之[本草]

☞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 6가지 집짐승고기에 중독되었을 때에는 서각을 물에 진하게 갈아 한사발 마신다[본초]. ○ 말이나 6가지 집짐승의 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에는 약전국을 물에 담갔다가 짜서 즙을 받아 두어 되 마신다[강목]. ○ 저절로 죽은 집짐승의 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에는 황백을 가루내어 8-12g씩 물에 타 먹는데 독이 풀리지 않으면 다시 먹어야 한다[입문]. ○ 여러 가지 고기를 먹고 중독되어 피를 토하고 뒤로 피가 나오는데는 고수씨(호유자)를 쓰는데 1되를 달여서 그 물을 식혀 한번에 반 되씩 하루 2번 마신다. 또는 호파 1되를 달여 그 물을 식혀서 반되를 마신다. 또는 생부추즙을 마신다. 또는 돼지뼈를 태워 가루내서 물에 타 먹는다[본초]. ○ 고기를 그릇에 담고 뚜껑을 꼭 덮어서 하룻밤 두었던 것을 울육(鬱肉)이라고 한다. 또한 초가집지붕에서 새어내리는 빗물에 젖은 포육을 누포(漏脯)라고 하는데 이것들은 다 독이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이것에 중독되었을 때에는 검정콩을 진하게 달여 그 물 2되 정도 먹어야 한다. 또는 부추를 짓찧어 즙을 내어 1-2되 정도 먹는다[본초]. ○ 말고기를 먹고 중독되어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향시(香?) 80g, 행인 120g을 섞어 한번 밥 지을 동안만큼 쪄서 절구에 짓찧어 하루 2번 먹인다. 또는 갈뿌리(蘆根)를 끓여 짜낸 물을 1-2되 마신다. 청주를 많이 마시면 독이 풀리나 탁주를 마시면 더 심해진다[본초]. ○ 말의 간을 먹고 중독되었을 때에는 웅서시 21개를 갈아서 물에 타 먹는다[본초]. ○ 개고기를 먹은 것이 내리지 않아서 명치가 단단하게 불러오르며 입이 마르고 열이 나며 헛소리를 하는 데는 갈대뿌리(노근)를 달인 물을 마신다. 또는 행인 1되를 껍질을 버리고 갈아서 물 3되에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3번에 나누어 먹는다. 그러면 설사로 피덩어리가 나오고 낫는다[본초]. ○ 소고기나 양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에는 감초를 달인 물 1-2되를 마신다[본초]. ○ 생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에는 지장수(地漿水)를 마신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열독창(熱毒瘡) 425
[부인(婦人)] 체현자차지법(體玄子借地法) 425
[풀(草部)] 회향(茴香) 424
[변증(辨證)] 3대를 내려온 의사를 귀중히 여긴다[醫貴三世] 424
[변증(辨證)] 오르내리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면 병이 생긴다[升降失常爲病] 423
[부인(婦人)]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증[産後乳懸證] 423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한(寒)] 땀을 내는 법[發汗法] 42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짐승고기에 중독된 것[諸獸肉毒] 422
[짐승(獸部)] 상아(象牙) 422
[변증(辨證)] 정상이 아닌 것은 병이다[反常爲病] 421
[해독(解毒)] 국수중독[麵毒] 421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풀(草部)] 비해(??) 420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눈(眼)] 눈병 때 꺼려야 할 것[眼病禁忌] 420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제창(諸瘡)] 단방(單方) 420
[해독(解毒)] 오독도기중독[狼毒毒] 420
[해독(解毒)] 철죽중독 420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한(寒)] 상한에 5가지가 있다[傷寒有五種] 419
[한(寒)] 상한의 16가지 이름[傷寒十六名]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