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독(解毒)

채소중독[菜蔬毒]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399 추천 수 0
? 菜蔬毒 ○ 食諸菜中毒發狂煩悶或吐下葛根濃煎汁服生汁尤佳又烏鷄屎燒爲末和水服又香油多飮之又甘草湯飮之又人乳汁或小兒尿服二升卽愈[本草] ○ 菜蔬魚肉毒苦參?三兩苦酒一升煎服吐出卽愈[本草]

☞ 채소중독[菜蔬毒]

 ○ 여러 가지 채소를 먹고 중독되어 날뛰며 안타깝게 답답해하고 토하며 설사하는데는 갈근을 진하게 달여 먹는다. 생즙을 내어 먹는 것이 더 좋다. 또는 오계시(烏鷄屎)를 태워 가루내어 물에 타서 마신다. 또는 참기름을 많이 마신다. 또는 감초를 달인 물을 마신다. 또는 젖을 먹어도 곧 낫는다[본초]. ○ 채소나 생선에 중독된 데는 너삼 120g을 썰어 식초 1되에 넣고 달여서 먹고 토하면 낫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뇌곽(雷廓) 539
[젖(乳)] 몸푼 뒤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2가지가 있다[産後乳汁不行有二] 539
[골(骨)] 뼈는 신에 속한다[骨屬腎] 539
[제창(諸瘡)] 지류를 치료하는 방법[治脂瘤方] 539
[잡방(雜方)] 부부가 서로 사랑하게 하는 방법[令夫婦相愛] 539
[잡방(雜方)]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539
[흙(土部)] 백악(白惡, 백토) 539
[충(蟲)] 침뜸치료[鍼灸法]/충 538
[후음(後陰)] 침뜸치료[鍼灸法] 538
[한(汗)] 해기(解肌) 538
[풍(風)]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538
[한(寒)] 상한의 합병[傷寒合病] 538
[조(燥)] 맥 보는 법[脈法] 538
[화(火)] 어혈로 열이 나는 것[滯血發熱] 538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8
[풀(草部)] 용담(龍膽) 537
[목구멍(咽喉)] 곡적(穀賊) 537
[근(筋)] 단방(單方)/힘줄 537
[변증(辨證)] 음증과 양증을 갈라야 한다[辨陰陽二證] 537
[해독(解毒)] 수독(水毒) 537
[곡식(穀部)] 마자(麻子, 삼씨) 537
[새(禽部)] 백설조(百舌鳥, 꾀꼬리) 537
[물고기(魚部)]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37
[눈(眼)] 활예(滑翳) 536
[괴질(怪疾)] 별가(鱉?)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벌레(蟲部)] 와우(蝸牛, 달팽이) 536
[충(蟲)] 호혹충(狐惑蟲) 535
[배(腹)] 복통의 나쁜 증후[腹痛凶證] 535
[변증(辨證)] 병을 치료하는 방법[療病式]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