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救急)

울모[鬱冒]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743 추천 수 0
◎ 鬱冒 ○ 人平居無疾忽如死人身不動搖??不知人目閉不能開口啞不能言或微知人惡聞人聲但如眩冒移時方?此由汗出遇多血少氣幷于血陽獨上而不下氣壅塞而不行故身如死氣過血還陰陽復通故移時方?名曰鬱冒亦名血厥婦人多有之宜白薇湯倉公散卽甦[本草]

☞ 울모[鬱冒]

 ○ 울모란 평소에 병 없이 지내다가 갑자기 죽은 사람처럼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며 눈을 감고 뜨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며 혹시 사람은 약간 알아보아도 말소리를 듣기 싫어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정신이 없다가 옮겨 눕힐 때에야 깨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땀을 지나치게 낸 것으로 하여 혈이 적어지고 기와 혈이 뒤섞여져서 양(陽)이 홀로 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고 기가 막혀 돌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죽은 것같이 된다. 그러나 기(氣)가 내려가고 혈(血)이 돌아오면 음양이 다시 통하기 때문에 몸을 옮길 때에 깨어나게 된다. 이것을 울모라고도 하고 혈궐(血厥)이라고도 하는데 부인에게 많이 생긴다. 이런 때에는 백미탕이나 창공산을 써야 곧 깨어난다[본사]. 

? 白薇湯 ○ 白薇當歸各一兩人參半兩甘草二錢半右爲#末每五錢水煎溫服[本草]
☞ 백미탕(白薇湯) ○ 백미, 당귀 각각 40g, 인삼 20g, 감초 1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본사]. 

? 倉公散 ○ 藜蘆瓜?雄黃白礬各等分右爲末取少許吹入鼻中[本事]
☞ 창공산(倉公散) ○ 박새뿌리(여로), 과체, 웅황, 백반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조금씩 콧구멍에 불어 넣어준다[본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창공산(倉公散)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백미탕(白薇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노채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不治證] 534
[근(筋)] 힘줄이 상한 것[筋傷證] 534
[잡방(雜方)] 호박고(琥珀膏) 534
[벌레(蟲部)] 백강잠(白?蠶) 534
[옆구리(脇)] 누액(漏液) 533
[용약(用藥)] 약을 쓰는 대체적 방법[用藥大體] 533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5가지 방법[療病五法] 533
[사수(邪崇)] 침뜸치료[鍼灸法] 533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제창(諸瘡)] 쏘이거나 씻는 약처방[熏洗方] 533
[물(水部)] 육천기(六天氣) 53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손(手)] 손가락에는 각각 이름이 있다[手五指有名] 532
[변증(辨證)] 찬 것을 좋아하거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것[便寒便熱] 532
[한(寒)] 상한의 전경[傷寒傳經] 532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제창(諸瘡)] 염창의 벌레를 없애는 법[取蟲方] 532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32
[흙(土部)]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532
[흙(土部)] 양상진(梁上塵) 532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짐승(獸部)] 사향(麝香) 사육(麝肉) 수사(水麝) 532
[물고기(魚部)] 백어(白魚, 뱅어) 532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입과 혀(口舌)] 혀를 문지르는 방법[擦舌法] 531
[부인(婦人)] 임신[胎孕]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