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질(怪疾)

계가(鷄?)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498 추천 수 0
? 鷄? ○ ?澄爲吳郡太守李道念到郡澄見謂曰汝有重病答曰舊有冷病今五年矣澄爲診曰汝病非冷非熱當是食白?鷄子過多所致令取蒜一升煮服之乃吐一物如升大有涎?之開看則是鷄雛翅羽瓜距悉具能行走澄曰此未盡令更服藥又吐如向者十三頭而安[醫說]

☞ 계가(鷄?)

 ○ 저징(?澄)이 오군태수(吳郡太守)로 있을 때 이도렴(李道念)이 그곳에 갔는데 저징이 그를 보고 너에게는 중병(重病)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자 그가 이전부터 냉병(冷病)이 있는데 5년이 되었다고 하였다. 저징이 진찰하고 나서 "너의 병은 냉증도 아니고 열증도 아니다. 겉만 허옇게 되게 삶은 달걀을 지나치게 많이 먹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라고 하면서 마늘 1되를 끓여서 먹였다. 그러자 크기가 되박만한 것을 토했는데 침[涎]에 싸여있었다. 그리하여 그것을 헤치고 보니 병아리였는데 날개와 발이 다 생겨서 걷기까지 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저징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고 하면서 다시 약을 먹였다. 그러자 먼저와 같은 것을 13개나 토하고 편안해하였다[의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노채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不治證] 534
[근(筋)] 힘줄이 상한 것[筋傷證] 534
[잡방(雜方)] 호박고(琥珀膏) 534
[벌레(蟲部)] 백강잠(白?蠶) 534
[옆구리(脇)] 누액(漏液) 533
[용약(用藥)] 약을 쓰는 대체적 방법[用藥大體] 533
[용약(用藥)] 병을 치료하는 5가지 방법[療病五法] 533
[사수(邪崇)] 침뜸치료[鍼灸法] 533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제창(諸瘡)] 쏘이거나 씻는 약처방[熏洗方] 533
[물(水部)] 육천기(六天氣) 53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손(手)] 손가락에는 각각 이름이 있다[手五指有名] 532
[변증(辨證)] 찬 것을 좋아하거나 더운 것을 좋아하는 것[便寒便熱] 532
[한(寒)] 상한의 전경[傷寒傳經] 532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2
[제창(諸瘡)] 염창의 벌레를 없애는 법[取蟲方] 532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32
[흙(土部)]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532
[흙(土部)] 양상진(梁上塵) 532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짐승(獸部)] 사향(麝香) 사육(麝肉) 수사(水麝) 532
[물고기(魚部)] 백어(白魚, 뱅어) 532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입과 혀(口舌)] 혀를 문지르는 방법[擦舌法] 531
[부인(婦人)] 임신[胎孕]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