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질(怪疾)

교룡가(蛟龍?)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488 추천 수 0
? 蛟龍? ○ 春秋二時龍帶精入芹菜中人偶食之得病發則似癎面色靑黃腹滿痛不可忍名爲蛟龍病取飴糖二三升日兩度服吐出如??三五枚卽差 ○ 蛟龍子生在芹菜中食之入腹變成龍子用?糖粳米杏仁乳餠煮粥食之三升日三服吐出蛟龍子有兩頭可驗[仲景]

☞ 교룡가(蛟龍?)

 ○ 봄과 가을 두 철에 용의 정(精)이 묻은 미나리를 먹으면 병이 생기는데 이 병이 발작하면 간질 때 같이 얼굴빛이 퍼러면서 누렇게 되고 배가 그득해지며 참을 수 없이 아프다. 이것을 교룡병(蛟龍病)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엿 2-3되를 2번에 나누어 하루에 다 먹으면 도마뱀 같은 것을 3-5개 토하고 곧 낫는다. ○ 살아있는 교룡알이 묻은 미나리를 먹어서 그것이 뱃속에 들어가면 교룡병이 생긴다. 이런 때에는 엿과 멥쌀과 행인 유병(乳?)을 섞어서 죽 3되를 쑤어 3번에 나누어 하루에 다 먹으면 교룡알을 토하는데 그것은 머리 같은 것이 2개 있는가를 보아서 알 수 있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8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
[옹저(癰疽)] 유주골저(流注骨疽) 751
[옹저(癰疽)] 정저(?疽) 458
[옹저(癰疽)] 정저의 형태와 증상(?疽形證) 397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옹저(癰疽)] 어제정(魚臍?) 357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옹저(癰疽)] 정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疽死證] 646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옹저(癰疽)] 돌림병으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정창이 생긴 것[食疫死牛馬禽獸肉生?] 714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옹저(癰疽)]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癰疽嘔逆] 672
[옹저(癰疽)] 옹저 때 담이 성하는 것[癰疽痰盛] 883
[옹저(癰疽)]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癰疽寒熱] 420
[옹저(癰疽)]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726
[옹저(癰疽)]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1024
[옹저(癰疽)] 옹저에 두루 쓰는약[癰疽通治藥] 863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옹저(癰疽)] 옹저 때 화침하는 방법[癰疽烙法]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