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질(怪疾)

입과 코로 연기 같은 것이 나와서 헤쳐지지 않는 것[口鼻氣出不散]

한닥터 2011.10.06 조회 수 440 추천 수 0
? 口鼻氣出不散 ○ 口鼻中氣出盤旋不散凝如黑盞色過十日漸至肩胸與肉相連堅勝金鐵多因?後得之煎澤瀉湯日飮三盃五日乃愈[得效]

☞ 입과 코로 연기 같은 것이 나와서 헤쳐지지 않는 것[口鼻氣出不散]

 ○ 입과 콧속에서 연기 같은 것이 나와서 헤쳐지지 않고[不散] 엉킨 것이 마치 검은 우산빛 같은데 이것이 10일이 지나면 점차 어깨와 가슴으로 내려와서 살에 붙는다. 그것은 굳기가 쇠보다 더하다. 이 병은 흔히 학질[?]을 앓은 뒤에 생긴다. 이런 데는 택사를 달인 물을 하루 3잔씩 5일간 먹으면 낫는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630
[탕액서례(湯液序例)]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67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543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물(水部)] 약으로 쓰는 물㈜[水部] 512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물(水部)]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606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물(水部)]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629
[물(水部)]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706
[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547
[물(水部)]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97
[물(水部)] 박(雹, 우박) 530
[물(水部)]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629
[물(水部)]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605
[물(水部)]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529
[물(水部)] 반천하수(半天河水) 586
[물(水部)] 옥류수(屋?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672
[물(水部)]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605
[물(水部)]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664
[물(水部)]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665
[물(水部)] 천리수(千里水) 508
[물(水部)]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544
[물(水部)] 역류수(逆流水) 527
[물(水部)]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을 말한다.) 545
[물(水部)] 급류수(急流水)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