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21 추천 수 0
◎ 諸法 
☞ 몇가지 방법[諸法] 

? 取水火法 ○ 陽燧向日然而爲火許愼云陽燧金也取金盃無緣者熟摩令熱日中時向日以艾承之則然得火也 ○ 日者太陽眞火以水精珠或心凹銅鏡向日射之以艾承接其光聚處火出故知之 ○ 方諸大蚌也向月承取水二三合如朝露主明目[本草]
☞ 물이나 불을 얻어내는 방법[取水火法] ○ 양수(陽燧)를 햇볕에 쪼이면 타서 불이 일어난다. 허신(許愼)은 양수(陽燧)란 바로 쇠[金]라고 하였다. 변두리가 없는 금잔을 한낮에 뜨겁게 될 때까지 세게 문질러서 햇볕에 놓은 다음 거기에 비빈 쑥을 대놓으면 불이 붙는다. ○ 햇빛은 태양의 불빛이다. 그러므로 수정이나 구슬이나 가운데가 오목한 구리거울을 태양을 향해서 놓고 햇빛이 반사되어 모이는 곳에 쑥을 대면 불이 일어난다. 이것으로 햇빛이 태양의 불빛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런 방법에는 여러 가지 큰 조개가 쓰이는데 이런 조개에 물 2-4홉을 담아 달을 향하여 놓아둔다. 이와 같이 한 것은 아침이슬과 같은데 주로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면(麵, 밀가루) 한식면(寒食麵) 592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곡식(穀部)] 신국(神麴, 약누룩) 508
[곡식(穀部)] 부(?, 밀기울) 423
[곡식(穀部)] 부소맥(浮小麥, 밀쭉정이) 477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곡식(穀部)] 소맥노(小麥奴, 밀깜부기) 392
[곡식(穀部)] 대맥(大麥, 보리) 854
[곡식(穀部)] 광맥(?麥, 겉보리) 511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5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60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9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두부(豆腐) 565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