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21 추천 수 0
◎ 諸法 
☞ 몇가지 방법[諸法] 

? 取水火法 ○ 陽燧向日然而爲火許愼云陽燧金也取金盃無緣者熟摩令熱日中時向日以艾承之則然得火也 ○ 日者太陽眞火以水精珠或心凹銅鏡向日射之以艾承接其光聚處火出故知之 ○ 方諸大蚌也向月承取水二三合如朝露主明目[本草]
☞ 물이나 불을 얻어내는 방법[取水火法] ○ 양수(陽燧)를 햇볕에 쪼이면 타서 불이 일어난다. 허신(許愼)은 양수(陽燧)란 바로 쇠[金]라고 하였다. 변두리가 없는 금잔을 한낮에 뜨겁게 될 때까지 세게 문질러서 햇볕에 놓은 다음 거기에 비빈 쑥을 대놓으면 불이 붙는다. ○ 햇빛은 태양의 불빛이다. 그러므로 수정이나 구슬이나 가운데가 오목한 구리거울을 태양을 향해서 놓고 햇빛이 반사되어 모이는 곳에 쑥을 대면 불이 일어난다. 이것으로 햇빛이 태양의 불빛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런 방법에는 여러 가지 큰 조개가 쓰이는데 이런 조개에 물 2-4홉을 담아 달을 향하여 놓아둔다. 이와 같이 한 것은 아침이슬과 같은데 주로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자현(子懸) 531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풀(草部)]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530
[코(鼻)] 맥 보는 법[脈法]/코 530
[목구멍(咽喉)] 시인(尸咽) 530
[살(肉)] 육절의 증후[肉絶候] 530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의 형체[天地之形] 530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물(水部)] 박(雹, 우박) 530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풀(草部)] 구맥(瞿麥, 패랭이꽃) 구맥자(瞿麥子, 패랭이꽃씨) 구맥엽(瞿麥葉, 패랭이꽃잎) 529
[잔등(背)] 맥 보는 법[脈法]/등 529
[골(骨)] 침뜸치료[鍼灸法]/뼈 529
[물(水部)]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529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근(筋)] 족소양(足少陽)의 경근[足少陽之筋] 528
[골(骨)] 광대뼈는 뼈의 근본이 된다[ 爲骨本] 528
[한(汗)] 여름에는 땀내는 것이 좋다[夏宜汗] 528
[한(寒)] 상한이 낫거나 죽게 되는 날짜[傷寒或愈或死日期] 528
[제상(諸傷)] 매를 맞아도 아프지 않게 하는 처방[打着不痛方] 528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것[姙娠禁忌] 528
[흙(土部)] 동회(冬灰, 명아주 태운 재) 528
[곡식(穀部)]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528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과실(果部)] 유감자(乳柑子) 528
[학질(?疾)] 학질이 낮이나 밤, 일찍이 또는 늦게 발작하는 차이가 있다[?發有晝夜早晏之異] 527
[부인(婦人)] 임신 때의 몸조리[姙娠將理法] 527
[물(水部)] 역류수(逆流水)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