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21 추천 수 0
◎ 諸法 
☞ 몇가지 방법[諸法] 

? 取水火法 ○ 陽燧向日然而爲火許愼云陽燧金也取金盃無緣者熟摩令熱日中時向日以艾承之則然得火也 ○ 日者太陽眞火以水精珠或心凹銅鏡向日射之以艾承接其光聚處火出故知之 ○ 方諸大蚌也向月承取水二三合如朝露主明目[本草]
☞ 물이나 불을 얻어내는 방법[取水火法] ○ 양수(陽燧)를 햇볕에 쪼이면 타서 불이 일어난다. 허신(許愼)은 양수(陽燧)란 바로 쇠[金]라고 하였다. 변두리가 없는 금잔을 한낮에 뜨겁게 될 때까지 세게 문질러서 햇볕에 놓은 다음 거기에 비빈 쑥을 대놓으면 불이 붙는다. ○ 햇빛은 태양의 불빛이다. 그러므로 수정이나 구슬이나 가운데가 오목한 구리거울을 태양을 향해서 놓고 햇빛이 반사되어 모이는 곳에 쑥을 대면 불이 일어난다. 이것으로 햇빛이 태양의 불빛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런 방법에는 여러 가지 큰 조개가 쓰이는데 이런 조개에 물 2-4홉을 담아 달을 향하여 놓아둔다. 이와 같이 한 것은 아침이슬과 같은데 주로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심병(審病)] 병이 낫는 날짜와 시간[病愈日時] 444
[심병(審病)] 밤과 낮에 따라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凡病晝夜輕重] 503
[심병(審病)] 기, 혈, 담, 화를 갈라보는 것[辨氣血痰火] 547
[심병(審病)] 병에는 5사가 있다[病有五邪] 837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難治證] 443
[심병(審病)] 갓 생긴 병인가 오래된 병인가를 알아내는 법[占新久病] 415
[심병(審病)] 5장은 몸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다[五臟者身之强] 429
[심병(審病)] 5장은 속을 지키는 것이다[五臟者中之守] 419
[심병(審病)] 내경의 병리기전[內經病機] 644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묘한 방법[察病玄機] 583
[심병(審病)] 5가지 빛으로 예후를 판단하다[五色占吉凶] 518
[심병(審病)] 명당의 빛을 보는 방법[明堂察色] 579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방법[診病之道] 523
[심병(審病)] 신(神), 성(聖), 공(工), 교(巧) 468
[천지운기(天地運氣)] 운기(運氣)의 변화에 따라 돌림병이 생긴다[運氣之變成疫] 396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의 객기를 가로 세로 보는 표[六十年客氣旁通圖] 501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천지운기(天地運氣)] 묘유년[卯酉之歲] 237
[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279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자오년[子午之歲] 395
[천지운기(天地運氣)] 60년간 운기의 주기와 객기, 사람에게 생기는 병[六十歲運氣主客及民病] 430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천지운기(天地運氣)] 6신년(六辛年)은 확류(?流)의 해[六辛年?流之紀] 479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천지운기(天地運氣)] 6을년(六乙年)은 종혁(從革)의 해[六乙年從革之紀] 379
[천지운기(天地運氣)] 6임년(六壬年)은 발생(發生)의 해[六壬年發生之紀] 502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