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45 추천 수 0
? 隱形法 ○ 白犬膽和通草桂心作末蜜和爲丸服能令人隱形靑犬尤妙[本草]

☞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 흰개[白犬]의 담과 통초, 계심을 섞어서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몸이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게 가리워진다. 푸른 개의 담이 더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해독(解毒)] 광물성 약중독[石藥毒] 449
[살(肉)] 뜸치료[灸法]/육 448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맥(脈)] 5장(五臟)의 맥(脈) 447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447
[기침(咳嗽)] 재채기를 하게 하는 방법[取?法] 447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5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눈(眼)] 소자적맥(小眥赤脈) 444
[천지운기(天地運氣)] 10간(十干) 444
[심병(審病)] 병이 낫는 날짜와 시간[病愈日時] 444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전음(前陰)] 산증 때 꺼릴 것[疝病禁忌] 443
[심병(審病)] 치료할 수 있는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可治難治證] 443
[풍(風)] 중풍 때 음식을 잘 먹는 것[中風能食] 443
[부인(婦人)] 해산하는 방[安産室]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