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262 추천 수 0
? 造?法 ○ 以大豆爲黃蒸(卽末醬)每一斗加鹽四升川椒四兩同淹春秋三日夏二日冬五日卽成半熟加生薑細切五兩拌勻入器內封口埋蓬艾積草中厚覆之或馬糞中過七日或二七日乃取用旣潔且精[本草]

☞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法]

○ 누런 콩을 찐 것(즉 메주콩이다) 1말에 소금 4되, 산초(천초) 160g을 넣고 섞어서 봄과 가을에는 3일, 여름에는 2일, 겨울에는 5일 동안 두어서 절반 정도 익힌 다음 생강을 잘게 썰어서 200g을 넣고 고루 섞는다. 이것을 항아리에 담고 입구를 잘 막아서 쑥더미 속에 깊이 묻는다. 혹 마분(馬糞)속에 파묻기도 한다. 7일간이나 14일간 있다가 파내어 쓰는데 깨끗하고 정결하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물고기(魚部)] 구어(?魚, 대구) 527
[풀(草部)] 애엽(艾葉, 약쑥잎) 애실(艾實, 약쑥씨) 526
[충(蟲)] 5장충(五臟蟲) 526
[눈(眼)] 눈병을 조리하는 방법[眼病調養] 526
[가슴(胸)] 결흉에 찜질하는 방법[?結胸法] 526
[배꼽(臍)] 약쑥으로 배꼽을 봉하는 방법[封臍艾] 526
[맥(脈)] 촌(寸), 관(關), 척(尺)이 주관하는 것[寸關尺所主] 526
[골(骨)] 등뼈의 수[脊骨有數] 526
[머리털(毛髮)] 머리는 자주 빗어야 한다[髮宜多櫛] 526
[물(水部)] 온천물[溫泉] 526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눈(眼)] 외장(外障) 525
[이빨(牙齒)] 단방(單方)/이빨 525
[천지운기(天地運氣)] 6갑년(六甲年)은 돈부(敦阜)의 해[六甲年敦阜之紀] 525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음식[飮食禁忌] 525
[새(禽部)] 촉옥(??) 52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가슴(胸)] 침뜸치료[鍼灸法]/가슴 524
[하(下)] 설사를 빨리 시키는 방법[促下法] 524
[적취(積聚)] 손에 쥐고 있으면 적이 풀리는 약[握藥宣積] 524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제창(諸瘡)] 단방(單方) 524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물고기(魚部)] 후어(?魚) 524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눈(眼)] 풍곽(風廓) 523
[눈(眼)] 소아청맹(小兒靑盲) 52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극과 북극[南北極] 523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방법[診病之道]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