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77 추천 수 0
? 造飴糖法 ○ 以?米煮粥候冷入麥芽末候熟取淸再熬如琥珀色者謂之膠飴可入藥其牽白堅强者謂之?糖不入藥只可啖之而已[入門]

☞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 찹쌀로 죽을 쑤어서 식힌 다음 보리길금가루를 버무려 넣고 따뜻하게 하여 두었다가 익은 뒤에 물을 짜서 다시 졸여 엿을 만든다. 엿이 호박처럼 누렇고 맑은 것을 강엿[膠飴]이라고 하는데 약에 넣을 수 있다. 엿을 켜서 허옇게 되고 단단하고 굳게 만든 것을 이당엿[?糖]이라고 하는데 약에는 넣지 않고 그저 먹기만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지황주(地黃酒) 496
[잡방(雜方)] 천문동주(天門冬酒) 625
[잡방(雜方)] 무술주(戊戌酒) 474
[잡방(雜方)] 신선고본주(神仙固本酒) 752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잡방(雜方)] 밀주(蜜酒) 426
[잡방(雜方)] 계명주(鷄鳴酒) 413
[잡방(雜方)] 백화춘(白花春) 403
[잡방(雜方)] 달인술(煮酒) 269
[잡방(雜方)]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358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잡방(雜方)]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611
[잡방(雜方)]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法] 262
[잡방(雜方)]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477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잡방(雜方)] 경분을 만드는 방법[造輕粉法] 780
[잡방(雜方)] 숙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800
[잡방(雜方)] 녹각교와 녹각상을 만드는 방법[煮鹿角膠霜法] 862
[잡방(雜方)]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法] 507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잡방(雜方)]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539
[잡방(雜方)] 음련추석법(陰煉秋石法) 482
[잡방(雜方)] 양련추석법(陽煉秋石法) 365
[잡방(雜方)] 복령조화고(茯?造化?) 827
[잡방(雜方)] 비전삼선고[秘傳三仙?] 492
[잡방(雜方)] 전약을 만드는 방법[造煎藥法] 464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