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신이고(神異膏)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1524 추천 수 0
? 神異膏 ○ 露蜂房杏仁各一兩黃?七錢半蛇退鹽水洗淨玄參各五錢亂髮鷄子大香油十兩黃丹五兩右先將油及髮?中熬候髮?盡入杏仁候杏仁黑色綿濾去滓乃入黃?玄參熬一二時稍停入蜂房蛇退攪熬至紫黑色又濾去滓慢火熬下黃丹急攪千餘轉滴水不散膏卽成矣磁器收貯用治諸般癰癤毒[正傳]

☞ 신이고(神異膏)

○ 노봉방, 행인 각각 40g, 황기 30g, 뱀허물(사퇴, 소금물로 깨끗하게 씻은 것), 현삼 각각 20g, 난발(달걀만한 것), 참기름 380g, 황단 200g. ○ 위의 약들에서 먼저 기름과 난발을 가마에 넣고 난발이 다 녹도록 달인 다음 행인을 넣고 행인이 검게 될 때까지 달인다. 다음 무명천에 걸러서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단너삼, 현삼을 넣어 2-4시간 동안 졸이다가 잠깐 불을 멈추고 노봉방과 뱀허물을 넣는다. 다음 저으면서 자흑빛[紫黑色]이 나도록 졸여 걸러서 찌꺼기를 버린다. 이것을 약한 불에 졸이면서 황단을 넣고 자주 천 여번 젓는데 물에 떨구어보아 풀어지지 않으면 고약이 다 된 것이다. 사기그릇에 담아두고 쓰는데 여러 가지 옹절독(癰癤毒)을 치료한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
[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51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침구(針灸)] 자세와 방향을 정하는 법[坐向法] 509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08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296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89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