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293 추천 수 0
◎ 造黃丹法 ○ 黑鉛一斤土硫黃焰硝各一兩先熔鉛成汁下醋點之滾沸時下硫黃一小塊續下硝少許沸定再點醋依前下少許硝黃已消沸定黃亦盡炒爲末成丹矣入藥又炒令色變細硏水飛二遍用之[入門]

☞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 흑연 600g, 토유황, 염초 각각 40g. ○ 위의 약들에서 먼저 흑연을 녹여서 즙 같이 만든 다음 식초를 넣고 보글보글 끓이다가 작은 유황덩어리를 하나 넣는다. 그 다음 이어서 염초를 조금 넣어서 끓던 것이 멎으면 또 식초를 떨구어넣는다. 그 다음 먼저와 같이 염초와 유황을 조금 넣어서 달이는데 다 녹아서 끓는 것도 멎고 유황도 다 볶아졌을[炒] 때 꺼내어 가루내면 황단이 된다. 약에 넣을 때에는 또 빛이 변하게 볶아 부드럽게 갈아서 2번 수비(水飛)하여 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해독(解毒)] 서각[犀角] 314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새(禽部)] 갈계(?鷄) 312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새(禽部)] 박로(搏勞) 310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어구(魚狗) 303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풀(草部)] 대청(大靑) 301
[눈(眼)] 부예(浮翳) 300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잡방(雜方)]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293
[새(禽部)] 절지(竊脂) 290
[벌레(蟲部)] 토도사(土桃蛇) 290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나무[木部]] 오수유(吳茱萸) 오수유엽(吳茱萸葉, 오수유나뭇잎) 식수유(食茱萸) 식수유수피(食茱萸樹皮, 식수유나무껍질) 282
[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279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