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414 추천 수 0
? 山芋粥 ○ 能潤肺益氣山芋生者去皮於石上或新瓦上細磨如泥二合蜜二匙牛乳一鍾(約半升)於慢火上同炒令極熟乃投白粥一椀中攪勻服之不極熟則辣喉[活心]

☞ 산우죽(山芋粥)

○ 폐를 잘 적셔주고[潤] 기를 보한다. 마(산우)를 생것으로 껍질을 버리고 돌이나 새기와장에 놓고 보드랍고 풀지게 간다. 이것 2홉에 봉밀 2숟가락과 소젖 1종발(약 5홉)을 한데 넣고 약한 불에 푹 익도록 달여서 흰죽 한사발에 넣고 고루 저어서 먹는다. 잘 익지 않으면 목구멍이 얼얼하다[활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입과 혀(口舌)] 입을 열지 못할 경우[口?不開] 518
[후음(後陰)] 주치(酒痔) 518
[심병(審病)] 5가지 빛으로 예후를 판단하다[五色占吉凶] 518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곽란(?亂)] 곽란 때에 찜질하는 방법[?亂?法] 518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藥物禁忌] 518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인부(人部)] 인조갑(人爪甲) 518
[용약(用藥)] 의사는 책을 쓰지 않는다는 것[醫不著書] 517
[창만(脹滿)] 침뜸치료[鍼灸法] 517
[제상(諸傷)] 침뜸치료[鍼灸法] 517
[눈(眼)] 통여침자(痛如鍼刺) 516
[변증(辨證)] 살이 쪘거나 여윈 데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肥瘦辨病候] 516
[소아(小兒)] 태열(胎熱) 516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입과 혀(口舌)] 중설 때 문지르는 방법[重舌擦法] 515
[변증(辨證)] 영위에 병이 생긴 것[榮衛生病] 515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기침(咳嗽)] 해역과 얼은 한 가지이다[咳逆與?爲一] 514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목(頸項)] 단방(單方)/목 513
[전음(前陰)] 수산(水疝) 51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513
[해독(解毒)] 반하중독[半夏毒] 513
[괴질(怪疾)] 게 같이 생긴 벌레가 생기는 것[有蟲如蟹] 513
[잡방(雜方)] 추위를 타지 않게 하는 방법[不畏寒] 513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13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