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藥物禁忌]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518 추천 수 0
◎ 藥物禁忌 ○ 歌曰?(?靑)斑(斑猫)水蛭及?? ○ 烏頭附子與天雄 ○ 野葛水銀幷巴豆 ○ 牛膝薏苡連蜈蚣 ○ 三稜代??花麝(麝香) ○ 大戟蛇?黃雌雄(雌黃雄黃) ○ 牙硝芒硝牡丹桂(桂皮) ○ 槐花牽牛?角同 ○ 半夏南星與通草 ○ 瞿麥乾薑蟹甲爪 ○ ?砂乾漆兼桃仁 ○ 地膽茅根莫用好[正傳] ○ 又忌??花??牛黃藜蘆金箔銀箔胡粉??飛生蟬殼龍腦蝟皮鬼箭羽樗鷄馬刀衣魚大蒜神麴葵子犀角大黃[局方]

☞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藥物禁忌]

○ 노래에는 완청(莞靑), 반묘(斑猫), 수질, 맹충, 오두, 부자, 천웅, 야갈, 수은, 파두, 우슬, 의이인,왕지네(오공), 삼릉, 대자석, 원화, 사향, 대극,사태,웅황, 진황(자황), 아초, 망초, 목단피, 계피, 괴화, 견우자, 조협(조각), 반하, 천남성, 통초, 구맥,건강, 게발톱, 노사, 마른 옻, 도인, 지담, 모근 등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정전]. ○ 척촉화, 도루래(누고), 우황, 박새뿌리(여로), 금박, 은박, 호분, 도마뱀(??), 날다람쥐, 선퇴(선각), 용뇌, 고슴도치가죽(자위피),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저계, 마도, 옷좀(의어), 마늘, 신국, 돌아욱씨(규자), 서각, 대황 등도 써서는 안 된다[국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