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임신 때의 몸조리[姙娠將理法]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527 추천 수 0
◎ 姙娠將理法 ○ 衣毋太溫 ○ 食無太飽 ○ 飮無大醉 ○ 勿妄服湯藥 ○ 勿妄用鍼灸 ○ 勿擧重登高涉險 ○ 勿勞力過傷 ○ 勿多睡臥須時時行步 ○ 心有大驚子必癲癎[入門] ○ 臨月不可洗頭 ○ 勿登高厠[正傳]

☞ 임신 때의 몸조리[姙娠將理法]

○ 옷은 너무 덥게 하지 말 것, 음식은 너무 배불리 먹지 말 것, 술을 많이 마시지 말 것, 함부로 달인 약을 먹지 말 것, 함부로 침과 뜸을 놓지 말 것, 무거운 것을 들거나 높은 곳으로 올라가거나 험한 데를 걷지 말 것,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지 말 것, 잠을 지나치게 자거나 누워 있지 말고 때때로 거닐 것 등을 지켜야 한다. 그리고 몹시 놀라면 태아에게 전간(癲癎)이 생길 수 있다[입문]. ○ 몸풀 달에 머리를 감지 말 것, 높은 곳에 있는 변소에 올라가지 말 것 등을 지켜야 한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691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소아(小兒)]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958
[소아(小兒)]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637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소아(小兒)]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802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三朝] 659
[소아(小兒)]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時吉凶證] 4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독을 푸는 것[解毒] 785
[소아(小兒)]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421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소아(小兒)]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791
[소아(小兒)]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609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소아(小兒)] 목욕시키는 법[浴法] 420
[소아(小兒)] 방예하는 법[禳法] 614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소아(小兒)] 음성[聲音] 451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