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474 추천 수 0
◎ 脈法 ○ 歌曰欲産之婦脈離經沈細而滑也同名夜半覺痛應分誕來日午後定知生[脈訣] ○ 難經云一呼三至曰離經一呼一至亦曰離經婦人欲産者脈皆離經夜半覺痛日中卽生也[綱目] ○ 尺脈轉急如切繩轉珠者卽産也[脈經] ○ 離經六至沈細而滑陣痛連腰胎卽時脫[丹心]

☞ 맥 보는 법[脈法]

○ 해산하려는 여자에게서 이경맥이 나타나는데 그 맥은 침세(沈細)하고 활(滑)하다. 밤중에 아프기 시작하면 해산하려는 것인데 다음날 오후에 해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맥결]. ○ 『난경』에는 "숨을 한번 내쉬는 동안에 맥이 세번 뛰는 것은 이경맥이다. 한번 숨을 내쉬는 동안에 맥이 한번 뛰는 것도 이경맥이다"라고 씌어 있다. 임신부가 해산하려고 할 때에는 맥이 다 이경맥이 되는데 밤중에 아프기 시작하면 다음날 한낮에 해산한다[강목]. ○ 척맥이 몹시 팽팽해서 노끈을 누르는 것 같고 구슬을 굴리는 것 같으면 아이를 곧 낳는다[맥경]. ○ 이경맥은 한번 숨쉴 동안에 여섯번 뛰는데 침세(沈細)하면서 활(滑)하고 진통이 허리까지 미치면 아이가 곧 나온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입과 혀(口舌)] 입을 열지 못할 경우[口?不開] 518
[후음(後陰)] 주치(酒痔) 518
[심병(審病)] 5가지 빛으로 예후를 판단하다[五色占吉凶] 518
[한(汗)] 땀을 너무 일찍이 내지 말아야 한다[汗無太早] 518
[곽란(?亂)] 곽란 때에 찜질하는 방법[?亂?法] 518
[부인(婦人)] 임신 때 꺼려야 할 약물[藥物禁忌] 518
[곡식(穀部)]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518
[인부(人部)] 인조갑(人爪甲) 518
[용약(用藥)] 의사는 책을 쓰지 않는다는 것[醫不著書] 517
[창만(脹滿)] 침뜸치료[鍼灸法] 517
[제상(諸傷)] 침뜸치료[鍼灸法] 517
[눈(眼)] 통여침자(痛如鍼刺) 516
[변증(辨證)] 살이 쪘거나 여윈 데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肥瘦辨病候] 516
[소아(小兒)] 태열(胎熱) 516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입과 혀(口舌)] 중설 때 문지르는 방법[重舌擦法] 515
[변증(辨證)] 영위에 병이 생긴 것[榮衛生病] 515
[한(汗)] 단방(單方)/땀(汗) 515
[기침(咳嗽)] 해역과 얼은 한 가지이다[咳逆與?爲一] 514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채소(菜部)] 오우(烏芋) 514
[목(頸項)] 단방(單方)/목 513
[전음(前陰)] 수산(水疝) 513
[천지운기(天地運氣)] 남쪽과 북쪽에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南北病治法] 513
[해독(解毒)] 반하중독[半夏毒] 513
[괴질(怪疾)] 게 같이 생긴 벌레가 생기는 것[有蟲如蟹] 513
[잡방(雜方)] 추위를 타지 않게 하는 방법[不畏寒] 513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13
[곡식(穀部)] 마엽(麻葉, 삼잎)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