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해산 후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한닥터 2011.10.10 조회 수 456 추천 수 0
◎ 産後諸證 ○ 有兒枕腹痛血暈血崩?血喘嗽咳逆産後不語産後見鬼?妄産後發熱産後乳懸證下乳汁産後陰脫産後鬱冒産後風?産後頭痛産後心腹腰脇痛産後嘔逆産後淋瀝遺尿産後泄痢産後秘結産後浮腫

☞ 해산 후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 후배앓이[兒枕腹痛], 혈훈(血暈), 혈붕(血崩), 코피,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 딸꾹질, 해산 후에 말을 못하는 것, 해산 후에 헛것에 들려 헛소리하는 것,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 해산 후에 젖몸이 늘어지는 것, 해산 후 젖이 나지 않는 것, 해산 후 자궁이 탈출된 것, 해산 후의 울모(鬱冒), 해산 후의 풍치(風?), 해산 후의 두통, 해산 후의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 해산 후의 구역, 해산 후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소변이 나오는 줄 모르는 것,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 해산 후의 변비, 해산 후의 부종 등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척감(脊疳) 461
[제상(諸傷)] 쇠붙이에 상하였을 때의 맥[金瘡脈候] 460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입과 혀(口舌)]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酒客喉舌生瘡] 459
[근(筋)] 수소음(手少陰)의 경근[手少陰之筋] 459
[용약(用藥)] 태양과 소음의 표병과 본병에 약을 다르게 쓴다[太陽少陰標本異藥] 459
[하(下)] 설사시켜야 할 증[宜下證] 459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벌레(蟲部)]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9
[풀(草部)] 백미(白薇) 458
[진맥(診脈)] 맥을 짚어 보는 데는 가볍게 눌러 보는 것과 힘주어 눌러 보는 것이 있다[診有輕重] 458
[한(寒)] 태음병 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太陰病腹脹滿] 458
[옹저(癰疽)] 정저(?疽) 458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용약(用藥)] 표와 본에 생긴 병에 약쓰는 선후차[標本用藥先後] 457
[해독(解毒)] 약쑥중독[艾毒] 457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변증(辨證)] 3초가 작용하지 못하는 것[三焦不歸] 456
[한(寒)] 궐에는 장궐과 회궐이 있다[厥有藏厥?厥] 456
[부인(婦人)] 해산 후의 여러 가지 증[産後諸證] 456
[눈(眼)] 눈에 티나 먼지, 연가시가 들어간 것[眯目飛塵飛絲] 455
[가슴(胸)] 음식에 대한 금기[飮食禁忌] 455
[변증(辨證)] 3가지 허한 것과 3가지 실한 것[三虛三實] 455
[소아(小兒)] 감종(疳腫) 455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