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해산 후의 구역[産後嘔逆]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417 추천 수 0
◎ 産後嘔逆 ○ 産後腹脹滿悶嘔吐不定此由敗血入脾胃故不能飮食也宜用抵聖湯香靈丸[正傳]

☞ 해산 후의 구역[産後嘔逆]

○ 해산 후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은 궂은 피가 비위에 침범하였기 때문인데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때에는 저성탕(抵聖湯), 향령환(香靈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 抵聖湯 ○ 治産後嘔逆惡心不能飮食赤芍藥半夏澤蘭葉人參陳皮各一錢半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七片水煎服[濟生] ○ 一名拒勝湯[正傳]
☞ 저성탕(抵聖湯) ○ 해산 후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작약, 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陳皮 각각 6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 香靈丸 ○ 治産後嘔不止丁香辰砂?硏各六分五靈脂一錢右硏勻用狗膽或猪膽和丸?實大以生薑陳皮煎湯磨化一丸服之[本事]
☞ 향령환(香靈丸) ○ 해산 후에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정향, 주사(따로 간 것) 각각 2.4g, 오령지 4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구담(狗膽)이나 저담(猪膽)으로 반죽한 다음 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과 陳皮를 넣고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본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향령환(香靈丸)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저성탕(抵聖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두구(頭垢, 머리때) 509
[인부(人部)] 고이두건(故?頭巾, 묵은 이두건) 543
[인부(人部)] 이색(耳塞, 귀지) 510
[인부(人部)] 아치(牙齒, 빠진 이) 506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인부(人部)]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44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인부(人部)] 부인포의(婦人胞衣, 산후태반) 521
[인부(人部)] 인뇨(人尿, 오줌) 819
[인부(人部)] 인중백(人中白) 696
[인부(人部)] 추석(秋石) 513
[인부(人部)] 부인월수(婦人月水, 월경수) 593
[인부(人部)]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652
[인부(人部)] 인시(人屎, 마른똥) 681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
[인부(人部)] 인조갑(人爪甲) 518
[인부(人部)] 신생소아제(新生小兒臍) 576
[새(禽部)] 약으로 쓰는 새[禽部] 592
[새(禽部)] 단웅계육(丹雄鷄肉, 붉은 수탉의 고기) 705
[새(禽部)] 백웅계육(白雄?肉, 흰 수탉의 고기) 770
[새(禽部)] 오웅계육(烏雄鷄肉, 검은 수탉의 고기) 672
[새(禽部)] 오자계육(烏雌鷄肉) 586
[새(禽部)] 황자계육(黃雌鷄肉) 624
[새(禽部)] 계자(鷄子, 달걀) 814
[새(禽部)]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656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새(禽部)] 야압육(野鴨肉, 들오리고기)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