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부인의 행년을 보는 법[推婦人行年法]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498 추천 수 0
◎ 推婦人行年法 ○ 逐一排行年吉凶于後按右件七神詳斷吉凶[局方]

☞ 부인의 행년을 보는 법[推婦人行年法]

○ 나이에 따라 좋고 나쁜 것을 아래에 배열해 놓았다. 위의 7신(七神)이 해당되는 데 따라 좋고 나쁜 것을 자세히 판단한다. [局方]

宜臥方 宜着衣 生氣方 禍害方 絶命方 閉?方 八莊方 反支月 懸尸方
눕는방향 옷의 빛깔 생기방 화해방 절명방 폐두방 팔장방 반지월 현시방
 十三歲   (庚申) 西南 黃衣 ? 正(七) 辰(戌)
 13살 경신 서남방 누른옷 곤방 리방 손방 신방 갑방 정7월 진술방
 十四歲   (巳未) 正南 赤衣 ? 二(八) 卯(酉)
 14살 기미 정남방 붉은옷 리방 곤방 태방 임방 계방 2월8월 묘유방
 十五歲   (戊午) 正北 黑衣 三(九) 寅(申)
 15살 무오 정북방 검은옷 감방 건방 간방 계방 임방 3월9월 인신방
 十六歲   (丁巳) 正東 靑衣 四(十) 丑(未)
 16살 정사 정동방 푸른옷 진방 간방 건방 갑방 신방 4월10월 축미방
 十七歲   (丙辰) 東北 黃衣 五(十一) 子(午)
 17살 병진 동북방 누른옷 간방 진방 감방 을방 경방 5월11월 자오방
 十八歲   (乙卯) 西北 黑衣 六(十二) 巳(亥)
 18살 을묘 서북방 검은옷 건방 감방 진방 병방 정방 6월12월 사해방
 十九歲 (甲寅) 正西 白衣 ? 正(七) 辰(戌)
 19살 갑인 정서방 흰 옷 태방 손방 리방 정방 병방 1월7월 진술방
 二十歲 (癸丑) 東南 黃衣 二(八) 卯(酉)
 20살 계축 동남방 누른옷 손방 태방 곤방 경방 을방 2월8월 묘유방
 二十一歲 (壬子) 西南 黃衣 ? 三(九) 寅(申)
 21살 임자 서남방 누른옷 곤방 리방 손방 신방 갑방 3월9월 인신방
 二十二歲 (辛亥) 正南 赤衣 ? 四(十) 丑(未)
 22살 신해 정남방 붉은옷 리방 곤방 태방 임방 계방 4월10월 축미방
 二十三歲 (庚戌) 正北 黑衣 五(十一) 子(午)
 23살 경술 정북방 검은옷 감방 건방 간방 계방 임방 5월11월 자오방
 二十四歲 (己酉) 正東 靑衣 六(十二) 巳(亥)
 24살 기유 정동방 푸른옷 진방 간방 건방 갑방 신방 6월12월 사해방
 二十五歲 (戊申) 東北 黃衣 正(七) 辰(戌)
 25살 무신 동북방 누른옷 간방 진방 감방 을방 경방 1월7월 진술방
 二十六歲 (丁未) 西北 白衣 二(八) 卯(酉)
 26살 정미 서북방 흰 옷 건방 감방 진방 병방 정방 2월8월 묘유방
 二十七歲 (丙午) 正西 白衣 ? 三(九) 寅(申)
 27살 병오 정서방 흰 옷 태방 손방 리방 정방 병방 3월9월 인신방
 二十八歲 (乙巳) 東南 靑衣 四(十) 丑(未)
 28살 을사 동남방 푸른옷 손방 태방 곤방 경방 갑방 4월10월 축미방
 二十九歲 (甲辰) 西南 黃衣 ? 五(十一) 子(午)
 29살 갑진 서남방 누른옷 곤방 리방 손방 신방 을방 5월11월 자오방
 三十歲 (癸卯) 正南 赤衣 ? 六(十二) 巳(亥)
 30살 계묘 정남방 붉은옷 리방 곤방 태방 임방 계방 6월12월 사해방
 三十一歲 (壬寅) 正北 黑衣 正(七) 辰(戌)
 31살 임인 정북방 검은옷 감방 건방 간방 계방 임방 1월7월 진술방
 三十二歲 (辛丑) 正東 靑衣 二(八) 卯(酉)
 32살 신축 정동방 푸른옷 진방 간방 건방 갑방 신방 2월8월 묘유방
 三十三歲 (庚子) 東北 黃衣 三(九) 寅(申)
 33살 경자 동북방 누른옷 간방 진방 감방 을방 경방 3월9월 인신방
 三十四歲 (巳亥) 西北 白衣 四(十) 丑(未)
 34살 기해 서북방 흰 옷 건방 감방 진방 병방 정방 4월10월 축미방
 三十五歲 (戊戌) 正西 白衣 ? 五(十一) 子(午)
 35살 무술 정서방 흰 옷 태방 손방 리방 정방 병방 5월11월 자오방
 三十六歲 (丁酉) 東南 黃衣 六(十二) 巳(亥)
 36살 정유 동남방 누른옷 손방 태방 곤방 경방 을방 6월12월 사해방
 三十七歲 (丙申) 西南 黃衣 ? 正(七) 辰(戌)
 37살 병신 서남방 누른옷 곤방 리방 손방 신방 갑방 1월7월 진술방
 三十八歲 (乙未) 正南 赤衣 ? 二(八) 卯(酉)
 38살 을미 정남방 붉은옷 리방 곤방 태방 임방 계방 2월8월 묘유방
 三十九歲 (甲午) 正北 黑衣 三(九) 寅(申)
 39살 갑오 정북방 검은옷 감방 건방 간방 계방 임방 3월9월 인신방
 四十歲 (癸巳) 正東 靑衣 四(十) 丑(未)
 40살 계사 정동방 푸른옷 진방 간방 건방 갑방 신방 4월10월 축미방
 四十一歲 (壬辰) 東北 黃衣 五(十一) 子(午)
 41살 임진 동북방 누른옷 간방 진방 감방 을방 경방 5월11월 자오방
 四十二歲 (辛卯) 西北 黃衣 六(十二) 巳(亥)
 42살 신묘 서북방 누른옷 건방 감방 진방 병방 정방 6월12월 사해방
 四十三歲 (庚寅) 正西 白衣 ? 正(七) 辰(戌)
 43살 경인 정서방 흰 옷 태방 손방 리방 정방 병방 1월7월 진술방
 四十四歲 (己丑) 東南 黃衣 二(八) 卯(酉)
 44살 기축 동남방 누른옷 손방 태방 곤방 경방 을방 2월8월 묘유방
 四十五歲 (戊子) 西南 黃衣 ? 三(九) 寅(申)
 45살 무자 서남방 누른옷 곤방 리방 손방 신방 갑방 3월9월 인신방
 四十六歲 (丁亥) 正南 赤衣 ? 四(十) 丑(未)
 46살 정해 정남방 붉은옷 리방 곤방 태방 임방 계방 4월10월 축미방
 四十七歲 (丙戌) 正北 黑衣 五(十一) 子(午)
 47살 병술 정북방 검은옷 감방 건방 간방 계방 임방 5월11월 자오방
 四十八歲 (乙酉) 正東 靑衣 六(十二) 巳(亥)
 48살 을유 정동방 푸른옷 진방 간방 건방 갑방 신방 6월12월 사해방
 四十九歲 (甲申) 東北 黃衣 正(七) 辰(戌)
 49살 갑신 동북방 누른옷 간방 진방 감방 을방 경방 1월7월 진술방 


◈ 一生氣方 ○ 産婦宜向之坐臥及床帳向之開門大吉[局方]
☞ 1. 생기방(生氣方) ○ 임신부가 이 방향을 향하여 앉거나 눕거나 휘장을 친 쪽의 문을 열어 놓으면 아주 좋다[국방]. 

◈ 二反支月 ○ 遇此月卽鋪灰用牛皮或馬驢皮訖鋪草勿令惡血汚地吉[局方]
☞ 2. 반지월(反支月) ○ 이 달을 만나면 재를 펴고 소가죽이나 노새가죽을 해산할 방에 펴서 오로[惡血]로 땅을 적시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국방]. 

◈ 三禍害方 ○ 不得於其上産又不得向之大小便避之大吉[局方]
☞ 3. 화해월(禍害方) ○ 이 방향에서 해산하거나 대소변을 누는 것을 피하면 아주 좋다[국방]. 

◈ 四絶命方 ○ 不得於其上産又不得向之大小便避之大吉[局方]
☞ 4. 절명방(絶命方) ○ 이 방향에서 해산하거나 대소변을 누는 것을 피하면 아주 좋다[국방]. 

◈ 五懸尸方 ○ 遇此日産不得攀繩宜懸馬?攀之大吉[局方]
☞ 5. 현시방(懸尸方) ○ 이 날을 만나면 산모가 노끈을 잡지 말며 말고삐를 달아 매놓고 붙잡으면 아주 좋다[국방]. 

◈ 六閉?方 ○ 臨月及滿月?不得向之大小便及棄不?之水謹之吉[局方]
☞ 6. 폐두방(閉?方) ○ 해산할 달이 가까워 오거나 해산할 날에는 다 이 방향을 향하지 말며 대소변도 이 방향에서 보지 말며 깨끗치 못한 물도 이 방향으로 버리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아주 좋다[국방]. 

◈ 七八莊方 ○ 産帳不得向之開門忌之大吉[局方]
☞ 7. 팔장방(八莊方) 해산할 때 휘장도 이쪽으로 향하게 하지 말고 문도 그쪽으로 내지 않으면 아주 좋다[국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괴질(怪疾)] 발가(髮?) 501
[흙(土部)] 적토(赤土) 501
[벌레(蟲部)] 맹충(?蟲, 등에) 501
[가슴(胸)] 결흉에 고치지 못할 증[結胸不治證] 500
[제창(諸瘡)] 단방(單方) 500
[괴질(怪疾)] 팔다리가 돌 같이 단단해진 것[四肢堅如石] 500
[물(水部)] 취탕(炊湯, 숭늉) 500
[벌레(蟲部)] 하(鰕, 새우) 500
[눈(眼)] 폭풍객열(暴風客熱) 499
[발(足)] 다리의 부위별 치수[足部度數] 499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이 태과하고 불급하는 해[五運之歲太過不及] 499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기침법(?鍼法)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흙(土部)] 6월하중열사(六月河中熱沙, 6월에 강가에 있는 뜨거워진 모래) 499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나무[木部]] 촉초(蜀椒, 조피열매) 초목(椒木, 조피나무)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진초(秦椒, 분지) 499
[맥(脈)] 6부맥에 음과 양이 뒤섞인 것[六脈陰陽錯綜] 498
[하(下)] 설사를 너무 늦게 시키는 말아야 한다[下無太晩] 498
[화(火)] 침뜸치료[鍼炙法] 498
[괴질(怪疾)] 계가(鷄?) 498
[부인(婦人)] 부인의 행년을 보는 법[推婦人行年法] 498
[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98
[후음(後陰)] 치질에 여러 가지 병을 겸한 것[痔兼諸病] 497
[천지운기(天地運氣)] 5운의 운을 규정하는 것[五運紀運] 497
[제창(諸瘡)]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있는 증[難治可治證] 497
[물(水部)]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97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하여 아이를 낳게 하는 처방[溫臍種子方] 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