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婦人)

침뜸치료[鍼灸法]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469 추천 수 0
◎ 鍼灸法 ○ 男子無嗣者以鹽塡臍艾炷灸之連日灸至二三百壯必效[綱目] ○ 婦人絶嗣灸關元三十壯可報灸之 ○ 婦人姙子不成數墮胎灸胞門子戶各五十壯胞門在關元左邊二寸子戶在關元右邊二寸子戶一名氣門[得效] ○ 又灸子宮三七壯或鍼入二寸穴在中極傍左右各開三寸[綱目] ○ 無子取陰交石門關元中極湧泉築賓商丘陰廉[甲乙] ○ 催生難産及下死胎取太衝(補)合谷(補)三陰交(瀉)立時分解 ○ 子上衝逼心取巨闕令産母正坐使人抱頭抱腰微偃鍼入六分留七呼得氣卽瀉立甦如子?母心生下兒手心有鍼痕子頂母心兒人中有鍼痕向後則枕骨有鍼痕是其驗也神效[綱目] ○ 一婦人産後暴卒其母爲灸會陰三陰交各數壯而甦其母盖名醫女也[資生]橫生逆産諸藥不效急於産母右脚小指尖頭上灸三壯卽産亦治胞衣不下醫鑑云卽至陰穴[得效] ○ 胞衣不下取三陰交中極照海內關崑崙[綱目] ○ 産後血暈取三里三陰交陰交神門關元[綱目] ○ 産後陰下脫灸臍下橫紋二七壯又取照海[良方] ○ 婦人無子或産後久不再孕取稈心一條長同身寸之四寸令婦人仰臥舒手足以所量稈心自臍心直垂下盡頭處以墨點記後以此稈心平摺橫安前點處兩頭盡處是穴按之自有動脈應手各灸三七壯神驗卽上所云胞門子戶穴也[醫鑑]

☞ 침뜸치료[鍼灸法]

○ 남자의 불임증에는 배꼽에 소금을 채워 넣고 약쑥(애엽)으로 날마다 200-300장의 뜸을 뜨면 반드시 효과가 있다[강목]. 
○ 여자의 불임증에는 관원혈(關元穴)에 30장의 뜸을 뜨되 구창이 일게 한다. 
○ 습관성 유산에는 포문혈(胞門穴)과 자호혈(子戶穴)에 각각 50장의 뜸을 뜬다. 포문은 관원혈의 왼쪽 2치 떨어진 곳이며 자호(子戶)는 관원혈의 오른쪽 2치 떨어진 곳에 있다. 자호는 일명 기문(氣門)이라고도 한다[득효]. 
○ 또는 자궁혈(子宮穴)에 21장의 뜸을 뜨며 혹 침을 2치 깊이로 놓는다. 자궁혈은 중극혈(中極穴)의 양쪽 옆으로 각각 3치씩 떨어진 곳에 있다[강목]. 
○ 불임증에는 음교(陰交), 석문(石門), 관원(關元), 중극(中極), 용천(涌泉), 축빈(築賓), 상구(商丘), 음렴(陰廉) 등의 혈에 놓는다[갑을]. 
○ 아이를 빨리 낳게 하고 난산과 뱃속에서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데는 태충혈(太衝穴)과 합곡혈(合谷穴)에 보법(補法)으로 침을 놓고 삼음교혈(三陰交穴)에는 사법(瀉法)으로 침을 놓으면 곧 나온다. 
○ 태아가 가슴으로 치밀 때에는 거궐혈(巨闕穴)에 놓는데 산모를 바로 앉게 하고 다른 사람이 머리와 허리를 안아 조금 기대게 한 다음 침을 6푼 깊이로 놓고 숨을 일곱번 내쉴 동안 꽂아 두었다가 득기(得氣)가 있은 다음 곧 뽑으면 정신을 차리게 된다. 만일 태아가 어머니의 가슴을 올려 받쳤다면 아이가 난 다음 손바닥에 침자리가 있고, 태아가 정수리로 어머니의 심장을 떠받쳤다면 인중(人中)에 침자리가 있고, 태아가 뒤로 향한 것 같으면 뒷머리에 침자리가 있게 된다. 이것은 실제 경험한 것이다[강목]. 
○ 어떤 부인이 해산 후 갑자기 까무러쳤는데 그의 어머니가 회음혈(會陰穴)과 삼음교혈에 몇 장의 뜸을 뜨니 살아났다. 그 어머니는 이름있는 의사의 딸이었다[자생]. 
○ 횡산과 역산에 모든 약이 효과 없을 때에는 빨리 산모의 오른발 새끼발가락 끝에 3장의 뜸을 뜨면 아이를 낳는다. 또는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의감』에는 "즉 지음혈(至陰穴)이다"고 씌어 있다[득효]. 
○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는 삼음교(三陰交), 중극(中極), 조해(照海), 내관(內關), 곤륜(崑崙)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해산 후의 탈음증에는 배꼽 아래 가로 간 금에 14장의 뜸을 뜨고 또 조해혈(照海穴)에 놓는다[양방]. 
○ 불임증이나 산후에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할 때에는 짚 한 대를 동신촌(同身寸)법으로 4촌 길이로 자른 다음 부인을 손과 발은 펴고 반듯이 눕게 한 후 짚을 배꼽 중심에서 아래로 곧바로 재어 그 끝을 먹즙으로 표식한다. 그 다음 이 지푸라기를 절반으로 꺾어서 중심을 먼저 표식한 곳에 놓고 지푸라기의 양쪽 끝이 닿는 곳이 혈이다. 손으로 누르면 동맥이 뛰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각각 21장의 뜸을 뜨면 효과가 있는 것을 경험하였다. 즉 위에서 말한 포문혈(胞門穴)과 자호혈(子戶穴)이다[의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황달(黃疸)]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黃疸治法] 839
[창만(脹滿)] 창만의 형태와 증상[脹滿形證] 840
[대변(大便)] 대변병의 원인[大便病因] 841
[머리(頭)] 진두통 841
[꿈(夢)] 약 쓰는 방법[用藥法]/꿈 842
[충(蟲)] 습열로 충이 생긴다[濕熱生蟲] 842
[얼굴(面)] 명당의 위치[明堂部位] 842
[잡방(雜方)] 옷에 묻은 기름과 때를 빼는 방법[去衣油及衣垢] 842
[혈(血)] 박궐증(薄厥證) 843
[학질(?疾)] 한학(寒?) 843
[옹저(癰疽)]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2 843
[해독(解毒)] 도생독(挑生毒) 843
[허로(虛勞)] 치료하기 어려운 증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844
[채소(菜部)] 구채(?菜, 부추) 844
[화(火)] 열을 내리는데 방법이 있다[退熱有法] 845
[구토(嘔吐)]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845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채소(菜部)] 내복(萊?, 무) 845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비장(脾臟)] 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脾病間甚] 846
[대변(大便)] 폭설(暴泄) 846
[내상(內傷)] 술에 상한 것[酒傷] 846
[기(氣)] 하기(下氣) 847
[맥(脈)] 15락맥(十五絡脈) 848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물고기(魚部)] 소팔초어(小八梢魚, 낙지) 848
[배꼽(臍)] 뜸 대신 배꼽에 바르는 고약[代灸塗臍膏] 849
[곡식(穀部)] 소맥(小麥, 밀) 851
[가슴(胸)] 가슴과 위가 아픈 데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心胃痛宜吐] 852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