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한닥터 2011.10.13 조회 수 589 추천 수 0
◎ 小兒病難治 ○ 古語曰寧醫十丈夫莫醫一婦人寧醫十婦人莫醫一小兒盖小兒難問證難察脈治之尤難故也[入門] ○ 爲醫之道大方脈爲難活幼爲尤難以其藏府脆嫩皮骨軟弱血氣未盛經絡如絲脈息如毫易虛易實易冷易熱兼之口不能言手不能指疾痛之莫知非觀形察色聽聲切脈究其病源詳其陰陽表裏虛實而能療之者盖亦寡矣[得效]

☞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 옛말에 "남자 열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보다 부인 한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 어렵고 부인 열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보다 어린이 한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어린이에게서 증상을 묻기 어렵고 맥을 진찰하기 어려워서 치료하기가 더욱 힘들기 때문이다[입문]. ○ 치료함에 있어서 어른의 병도 어렵지만 어린이의 병이 더욱 어려운 것은 5장 6부가 든든하지 못하고 피부와 뼈가 연약하며 혈기가 왕성하지 못하고 또 경락(經絡)이 가는 실과 같으며 맥이 뛰는 것과 숨쉬는 것이 털과 같이 약해서 허(虛)해지기도 쉽고 실(實)해지기도 쉬우며 싸늘해지기도 쉽고 열해지기도 쉽다. 뿐만 아니라 말을 하지 못하고 손으로 아픈 데를 가리키지 못하며 아파도 어디가 아픈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나타나는 증상을 눈으로 보고(망진) 소리를 들으며 맥을 짚어 보아 병의 근원을 찾아 음증(陰證), 양증(陽證), 표증(表證), 이증(裏證), 허증(虛證), 실증(實證)인가를 자세히 구별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실수하는 때가 많을 것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9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4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6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92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1
[탕액서례(湯液序例)]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630
[탕액서례(湯液序例)]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67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543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물(水部)] 약으로 쓰는 물㈜[水部] 512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물(水部)]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606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물(水部)]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