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한닥터 2011.10.14 조회 수 444 추천 수 0
◎ 面上形證歌 ○ 痢疾眉頭皺驚風面頰紅渴來脣帶赤毒熱眼?? ○ 山根若見脈橫靑此病明知兩度驚赤黑困疲時吐瀉色紅啼夜不曾停 ○ 靑脈生於左太陽須驚一度見推詳赤是傷寒微燥熱黑靑知是乳多傷 ○ 右邊靑脈不須多有則頻驚?奈何紅赤爲風抽眼目黑靑三日見閻羅[正傳]

☞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 눈썹머리 주름지면 이질(痢疾)일시 분명하고, 양쪽 볼이 붉은 것은 경풍으로 앓는 걸세, 안타깝게 목마르면 입술빛이 새빨갛고, 독한 열이 속을 치면 눈정기가 흐릿하네 ○ 산근(山根) 위에 가로 간 줄 색을 보아 병을 알고, 푸른 줄이 건너가면 두 번이나 놀란 걸세, 검붉은 줄 가로 서면 간혹 토사(吐瀉) 맥이 없고, 한 줄기의 붉은 줄은 밤울음증 멎지 않네 ○ 왼쪽 태양 푸른 줄은 한 번 몹시 놀란 걸세, 붉은 줄은 상한으로 열이 약간 나는 거고, 검푸른 줄 나타나면 젖에 많이 체했다네 ○ 오른쪽의 파란 줄은 놀라기를 자주 하고, 홍색이나 적색 줄은 눈 뒤집고 풍(風) 일구며, 검푸른 줄 나타나면 3일 후에 좋지 않네[정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눈(眼)] 소아통정(小兒通睛) 445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눈(眼)] 적막하수(赤膜下垂) 446
[옹저(癰疽)] 옹저 때 침을 놓는 방법[癰疽鍼法] 446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맥(脈)] 5장(五臟)의 맥(脈) 447
[전음(前陰)] 음식창과 하감창[陰蝕瘡下疳瘡] 447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 태우면서 냄새를 맡는 약[喘嗽熏藥] 447
[기침(咳嗽)] 재채기를 하게 하는 방법[取?法] 447
[눈(眼)] 동자생예(撞刺生瞖) 448
[살(肉)] 뜸치료[灸法]/육 448
[골(骨)] 뼈는 골수가 모이는 곳이다[骨爲髓府] 448
[변증(辨證)] 장부병이 빨리 전해 가는 것[臟腑病急傳] 449
[변증(辨證)] 2시, 4이, 4기[二尸四異四奇] 449
[풍(風)] 비증 때의 맥[痺脈] 449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단방(單方) 449
[해독(解毒)] 광물성 약중독[石藥毒] 449
[입과 혀(口舌)] 혀가 끊어진 것을 잇는 방법[補舌斷方] 450
[근(筋)] 수양명(手陽明)의 경근[手陽明之筋] 450
[괴질(怪疾)] 몸이 뱀모양으로 붓는 것[身腫如蛇狀] 450
[잡방(雜方)] 의향(衣香) 450
[눈(眼)] 동인건결(瞳人乾缺) 451
[배꼽(臍)] 어린이의 배꼽이 헌것[小兒臍瘡] 451
[하(下)] 설사는 신중하게 시켜야 한다[下法宜愼] 451